EZ EZViwe

지난해 드론·스마트 기기 평가건수 급증

미래부,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평가 현황 분석

황이화 기자 기자  2016.01.20 12:25:15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올해 시중에 초고속 무선충전기기 및 스마트카 관련 제품 등이 많이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2015년도에 실시한 방송통신기자재 등에 대한 적합성평가(이하 적합성평가) 현황 분석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적합성평가는 전파 혼·간섭 방지와 전자파로부터의 기기·인체 보호 등을 위해 방송통신기자재의 기술기준 적합 여부를 사전에 시험·확인하는 제도로, 국내서 판매되는 방송통신기자재는 모두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한다.

2015년 적합성평가 건수는 총 3만3877건으로 전년대비 13.6% 증가했다. 적합성평가 건수는 2012년부터 계속 늘고 있는데, 이에 대해 미래부는 ICT 기기의 수명 단축과 새 제품 출시 등을 요인으로 봤다.

지난해에는 △전동 휠·전동 스쿠터 등 개인용 이동수단 기기 △드론·무선조종기 △스마트 워치·체중계 등 스마트기기 △IoT 구현을 위한 블루투스 등 신기술 제품들에 대한 적합성평가가 크게 증가했다.

미래부는 산업·연구계의 산업전망 분석 등을 고려해 올해는 △스마트밴드 등 웨어러블 제품 및 IOT 제품 △초고속 무선충전기기 △스마트카 관련 제품들의 적합성평가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아울러 국가별 적합성평가 현황을 보면 지난 한 해 동안 △국산 제품이 41.1% △중국 제품이 38.4% △일본 4.8% △미국 4.2% △기타 11.5%였다. 2012년 이후 국내에서 적합성 평가를 받는 중국 제품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일본과 미국 제품 차지 비중은 감소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더불어 적합성평가를 받은 제품 중 국산제품과 중국·미국 수입제품은 정보기기가 가장 큰 비중이었으나 일본 수입제품은 산업용기기 비중이 컸다.

미래부 관계자는 "적합성평가는 국내서 사용되는 모든 ICT 기기 등 방송통신기자재의 승인현황"이라며 "ICT 트렌드를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부는 이 같은 기술발전 추세에 맞춰 방송통신기기 전반에 대한 위해도를 분석, 사전규제가 적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적합성평가 제도를 개선해 기업의 부담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여기 더해 적합성평가를 받지 않은 기기 및 적합성평가 기준에 부적합한 기기에 대한 사후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