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은행이 지난해 8월부터 9월까지 전국 성인 남며 2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19일 발표한 '2015년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결과 및 시사점'에 따른 것. 모바일금융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 1위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72.5점(100점 만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공인인증서 등 안전장치에 대한 불신(70.7점)' '사용 중 실수로 인한 금전적인 손해에 대한 우려(69점)' 순이었다.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 시 발생 가능한 보안문제 중에서도 '개인정보 유출 및 악용'(76.5점)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휴대폰 분실 또는 도난(75.3점)' '계좌정보 유출 및 악용(74.4점)'이 뒤를 이었다. 이런 가운데 '악성코드, 바이러스 감염(69.4점)' '휴대폰 해킹(68.9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개인정보 보호 정도에 응답자들은 매우 낮은 점수를 줬다. 모바일뱅킹 개인정보 보호 정도는 44.7점, 모바일결제는 42.6점으로 집계돼 모두 50점을 넘기지 못해 전체적 신뢰도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었다.
반면 바이오인증기술은 △편리성(61.6점) △안전성(59.8점) △상용화 가능성(58.8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 받았지만 경제성(57.1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우려되는 보안문제 등이 해결될 경우 이용의향이 있는 금융서비스는 교통요금 지급이 49.7%로 가장 높았으며 인터넷 물품 구매(40.9%), 상점에서 구매대금 지급(36.4%) 등이 뒤따랐다.
한국은행 측은 "개인정보 유출 및 악용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부정거래 탐지, 바이오인증기술 구현 등 보안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며 "모바일 금융사고 시 금융기관과 IT 기업 간 배상책임 규정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