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보호와 관광개발 융합…곶자왈, 원희룡식 부동산정책 상징성

꾸준한 매입면적 축적-특화된 도립공원 시너지, 제주만의 환경자산 관리 백년대계

임혜현 기자 기자  2016.01.18 14:02:1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곶자왈 보호'를 위한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정 역량 발휘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원희룡 도정'의 지역경제 개발과 인문자연환경 조화의 '공생 아이디어'를 상징하는 케이스로 곶자왈에 대한 애정이 언급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곶자왈은 숲('곶')과 수풀이 우거진 형상('자왈')을 합쳐 말하는 제주어로 우거진 원시자연림을 가리킨다. 그런데 제주도에서는 왜 이 곳을 매입해 보호하는 데 열을 올리는 것일까.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분출한 용암이 굳어 구멍이 많은 크고 작은 바위 덩어리를 이뤄 쌓인 곳이 많다. 제주는 비가 많이 내려도 대개 지하로 흘러들어 지하수가 되고 해안지역에서나 용출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곶자왈이 형성되는 곳은 돌이 머금은 수분을 자산삼아 풀과 나무가 자라기 용이한 곳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아열대수종의 북방한계선과 온대식물의 남방한계선이 교차하고 뒤섞여 공존하는 살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는 이색적인 지대가 형성될 수 있었다. 다양한 식물이 공존하는 세계 유일의 독특한 숲으로 제주 생태계의 허파 역할을 하고 있어 자연보호 측면에서는 물론 학술적 값어치도 높다.

원희룡 지사가 2014년 집권한 이래 곶자왈에 대한 관심을 지속하고 있는 점은 그런 의미에서 중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원 지사는 제주제2공항 추진 국면에서 에어시티 개발 카드를 거론하는 등 지역민 이익을 최대화하는 방안이 무엇일지 고민하고 있다. 제주의 정치와 경제 오피니언 리더들은 개발에 치중한 주장을 하는 측과 독특한 자연환경을 보호하자는 쪽에 방점을 찍는 쪽으로 양분돼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와중에 현재 중국에서의 관광수요 유입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해외를 포함한) 외지 자본에 지나치게 도 경제 시스템이 종속되지 않도록 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아직 조율과 이론 체계화가 만족스럽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개발과 동시에 당장의 이익에만 급급하기 보다는 장차 제주 고유의 매력을 유지해 나가면서 도의 먹거리를 창출할 방안을 생각해야 한다는 점에 현재 제주도정의 고민이 있다.

이런 점에서 원 지사는 특히 외지인에 의한 토지 관심이 지나친 점, 난개발로 이어지는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서는 안정적 정책 백년대계 수립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제2공항 개발 초창기부터 전수조사를 통한 농지부동산 전용 사례 적발이나 문제있는 외지인 거래 케이스 감시 등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곶자왈만 해도 마찬가지다. 곶자왈에 대한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하지만 위에서 이미 언급한 의미를 지난 지자체 도정과 의정 수립-교체 과정에서 등장했던 여러 도 자치행정 관계자들도 인지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곶자왈 보호 개념이 크게 새로운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곶자왈 매입은 곶자왈 중 생태계가 양호한 지역인 선흘곶자왈과 한경곶자왈 950㏊ 중 2009년부터 2013년까지 260억원을 투입, 235㏊를 매입하는 쪽으로 작업이 추진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제주 부동산의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인해 걱정과 우려가 늘기 시작했다. 제주도에서 나서도 예산 한계상 곶자왈 매입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것. 

물론 제한된 예산으로 곶자왈 보호에 필요한 면적을 모두 원활히 매입을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이런 곶자왈 보호 어려움이 있다 해도 정책 추진에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이미지를 줘서는 안 된다는 절박함이 있다.

더욱이 곶자왈 보호에 적극성과 일관성, 그리고 한층 더 업그레이드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난개발 등 도내 부동산 문제점 전반에 대한 개선 의지를 표시할 수 있다는 상징성에서도 곶자왈 관련 논의는 피하거나 미뤄둘 수 없다.

이에 따라 땅값 상승 등 부담 요인으로 곶자왈 관련 매입이 사실상 종료될 수 있다는 우려를 딛고 새 도지사 임기 시작 무렵인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80억원을 투입해 60㏊,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343억원을 투입해 414㏊를 매입하는 등 의미있는 족적을 이어나가고 있다.

무엇보다 산림청과 협의해 곶자왈 매수 계획 외의 기존 국공유지 연접지역까지 확대하는 등 사유 곶자왈 매수에 속도를 내기로 했으며, 곶자왈 보호지역 지정 경계조사 용역 추진, 곶자왈 보전관리를 위한 종합계획 수립 및 조례의 제정 등 곶자왈 보전을 위한 제도도 정비되고 있다.

이런 상황이라면 기존의 매입지는 보호에 방점을 찍고 제주개발공사가 작년 여름 제주도에 기부채납한 제주곶자왈도립공원과의 연계 활용 구상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런 융합적 활용 가능성 타진을 통해 제주 특유의 환경 요소 보존과 관광상품화, 그리고 지역민과의 상생 모델 테스트와 확립 등이 올해부터 한층 더 의미있게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돼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