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해 금융기관과 한국은행 화폐교환 창구에서 회수한 손상화폐 규모가 3조4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17일 '2015년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규모'를 발표하고 폐기한 손상화폐는 3조3955억원이며, 이중 은행권이 3조3939억원, 주화가 16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2조9847억원) 대비 13.8%(4108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이중 일반인들이 보관·사용 중 훼손돼 한은에서 교환한 손상화폐는 31억4000만원으로 은행권은 15억8000만원, 주화는 15억6000만원을 차지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처럼 폐기된 손상화페를 모두 새 화폐로 대체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563억원에 달했다.
손상사유로는 불에 탄 경우 8억2000만원, 습기 및 장판 밑 눌림 등에 의한 경우가 5억1000억원, 칼질 등에 의해 조각난 경우가 9000만원이었다.
손상화폐 중 가장 많은 것은 1만원권으로 2조7678억원(폐기 은행권 중 금액기준 81.6%)이었다. 이어 1000원권 2795억원(8.2%), 5000원권 2222억원(6.5%) 순이었다. 5만원권은 1244억원으로 지폐 중 가장 적었다.
주화 중에서는 100원화가 주화 폐기액의 50.6%인 8억원 폐기됐다. 500원화는 6억원(38.7%), 50원화는 1억원(7.0%), 10원화는 6000만원원(3.7%)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일반인들이 교환의뢰 했지만, 금액 중 반액 또는 무효 판정을 받아 액면대로 교환 받지 못한금액은 1억원에 달했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교환을 의뢰한 손상은행권의 액면금액은 16억9000만원이나 실제로 교환된 금액은 15억8000만원억원이었다.
손상화폐는 남은 면적이 원래 크기의 3/4 이상이면 액면금액 전액을, 3/4 미만에서 2/5 이상이면 액면금액의 반액을 교환받을 수 있으며, 2/5 미만이면 무효로 처리돼 교환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은은 "화폐가 훼손되면 개인의 재산상 손실은 물론, 화폐제조비용이 늘어난다"며 화폐를 깨끗이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