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SM6는 틈새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만든 차가 아니다. 어디까지나 르노삼성의 미래를 이끌 주요 차종이다. 그렇기에 SM6는 현대차 아슬란과는 완전히 다르다."
르노삼성자동차 영업본부장인 박동훈 부사장은 13일 충남 태안군 한서대학교 비행교육원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SM6 출시에 따른 SM5, SM7 시장 잠식 우려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박동훈 부사장은 "국내 중형차시장이 줄어드는 데는 분명히 이유가 있다"며 "소비자를 감성적으로 만족시키지 못하는 부분이 바로 그 이유"라고 지적했다. SM6는 그 부분에 중심을 두고 마케팅을 전개한다는 방침도 전했다.
이어 "네이밍이 SM5와 SM7 사이에 낀 SM6로 명명되다 보니 이미지가 겹칠 우려가 있지만 분명 개념과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SM6가 나머지 두 차종과 겹칠 일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자신했다.
특히 박동훈 부사장은 SM6 판매목표로 5만대를 제시, 이를 바탕으로 내수시장 3위 재탈환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지금까지 국내 자동차시장은 현대차가 만든 놀이터에서 우리가 노는 것이 현실이었지만 앞으로 우리가 생존하려면 이제 그 관행에 따라 정해진 세그먼트에서 경쟁하지 않을 것이고, 그것은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그간 SM5는 현대차 쏘나타, 기아차 K5와 비교됐지만, SM6는 그들과 다른 포지셔닝을 해야 한다"며 "단순히 중형차시장에서 경쟁차종을 국내에 국한시킬 게 아니라 수입차까지 포함해 폭스바겐 파사트 같은 차종들도 포함해야 한다" 설명했다.
이외에도 LPG 장착에 대해서는 "현재 SM5와 SM7에 LPG를 탑재해 택시로 판매하고 있는데 SM6도 향후 내놓을 계획이며, 고급 택시시장을 공략할 것"라고 제언했다.
한편, 르노삼성은 SM6 출시를 기점으로 새로운 변화도 예고했다. 전국 188개의 전시장에 새로운 SI(Shop Identity)를 적용 중인 르노삼성은 내년까지 전국 모든 전시장에 이를 적용한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아울러 작년 2145명의 영업사원은 올해 2345명으로 확대하는 등 영업사원 확대를 통해 판매 강화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여기 더해 프랑수아 프로보 르노삼성 사장은 '긍지의 르노삼성, 도약 2016'이라는 콘셉트의 내년 세부 목표치를 내놨다.
프랑수아 프로보 사장은 올해 판매목표로 지난해 목표치보다 30% 늘어난 10만대 이상을 내걸며 국내 판매 3위 달성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를 위한 필수 요소로는 국내시장 점유율 10%, 생산대수 30만대를 꼽았다.
이와 함께 세 가지 핵심목표로는 △최상의 고객만족도를 위한 품질 넘버 No.1 달성 △국내 판매 3위 도약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강화를 통한 효율성 증대를 거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