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역대 어느 정부에서도 다루지 못하고 심지어 포기까지 했던 위안부 문제를 최대한의 성의를 갖고 할 수 있는 최상의 것을 받아낸 제대로 합의가 되도록 노력한 것은 인정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안보경제 위기 비상상황'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한일 합의 관련 질문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또 "시간이 없어 한 분이라도 생존해 계실 때 사과도 받고 마음의 한을 풀어 명예와 존엄을 회복시켜야 한다는 다급하고 절박한 심정으로 노력했다"고 말을 보탰다.
그러면서 "현실적으로로 지난해 9명의 피해자가 돌아가시고, 현재 46명밖에 남지 않았으며 평균 연령은 89세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협상이라는 것이 여러 현실적 제약이 있어 100% 만족할 수 없다"며 "기회가 있을 때마나 이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했고, 역대 대통과 달리 유엔 등 여러 국제회의에서 공개적으로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얘기해왔다"고 덧붙였다.
일본이 관심을 갖고, 또 압박을 받도록 하기 위해 유엔에서 공개적으로 거론하기도 했다는 제언도 있었다.
이와 함께 "그동안 피해자들과 협의가 부족하지 않았느냐는 지적도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하지만 지난해 외교부 차원에서 15차례 피해자 할머니들, 관련단체 등과 만났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피해자 분들이 진짜 바라는 것에 대해 들었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이 같은 협의 결과,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세 가지를 꼽을 수 있었다고 얘기를 이었다. 첫째 일본군이 관여했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 둘째 일본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인 사죄가 있어야 한다는 것, 셋째 일본정부가 돈으로 피해보상을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지목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합의는 이 세 가지를 충실하게 반영한 결과라고 말씀드릴 수 있다"면서 "같은 위안부 문제, 피해를 받은 동남아 국가들이 한국 수준으로 피해보상을 해달라 이렇게 일본정부에 요구하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소녀상 이전과 관련한 일본정부와의 이면 합의 의혹에는 "소녀상 이전 문제와 관련, 한일 외교장관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한 내용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라며 "정부가 소녀상을 이래라저래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한발 물러난 모습을 보였다.
여기 더해 "왜곡하고 없는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야당을 겨냥해 "정작 자신이 책임 있는 자리에 있을 때 시도조차 못해놓고 이제와서 무효화를 주장하고 정치적 공격을 빌미로 삼는 것은 안타까운 모습"이라고 날을 세웠다.
더불어 "중요한 것은 합의 내용 충실하게 이행되는 것"이라며 "피해자 분들이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여생을 편안한 삶의 터전을 가질 수 있도록 그 과정에서 그분들의 이해를 구하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