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울산대학교 연구팀에서 낮은 발전 효율로 상용화가 어려웠던 유기태양전지 단점을 극복하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12일 이 대학교에 따르면 유기태양전지는 전자기기의 차세대 구동 에너지원으로 촉망받는 에너지 소자였지만 실리콘 기반의 무기태양전지에 비해 발전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는 한계가 숙제였다.
하지만 조신욱 교수를 주축 삼은 울산대 연구팀은 유기태양전지의 전자수송층으로 사용되는 산화아연(ZnO)층에 알칼리 메탈 카보네이트 물질을 첨가해 전자수송 효율을 증가시키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