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새해 벽두부터 대표적 서민 품목인 라면·맥주 등의 가격 인상 소식이 들려오면서 물가 상승에 대한 직장인들의 우려가 더욱 깊어진 것으로 보인다.
취업검색엔진 잡서치(대표 최인녕)는 전국 남녀 직장인 57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새해 소망과 걱정'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들의 시름을 깊어지게 하는 주범 1위가 다름 아닌 '지금보다 치솟은 물가'(33.9%)였다고 8일 밝혔다.
다음으로 △경기침체로 인한 고용 불안(16.7%) △취업·이직 실패(14.8%) △연애·결혼 문제(14.3%) △연봉 동결·낮은 인상률(13.9%)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지금보다 치솟은 물가'는 △40대(39.5%) △30대(35.8%) △20대(31.6%) 순으로 꼽아 소비력이 높은 나이일수록 많은 응답을 보였다. '경기침체로 인한 고용 불안' 역시 동일한 순으로 집계돼 연령대가 높을수록 실직에 대한 불안감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비해 '취업·이직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한창 커리어에 집중할 '20대'(17.5%), '30대'(16.7%)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40대'는 5.8%에 그쳤다.
이처럼 높은 물가와 고용 불안으로 인해 직장인 상당수가 새해부터 시름을 앓고 있는 가운데, 올해 가장 듣고 싶은 소식으로도 '경기회복·물가안정'(42.6%)이 1위에 올라 현재 물가에 대한 직장인들의 부담감이 상당하다는 점을 재차 엿볼 수 있었다.
이어 △최저임금 대폭 인상(28.7%) △청년실업률 감소(12.3%) △위안부문제 해결(7%) △IS 격퇴 소식(4.9%) 등의 의견이 뒤따랐다.
연령별로 보면 '경기회복·물가안정'을 꼽은 비율은 '40대'(59.3%), '30대'(53.3%)의 경우 과반수가 응답하면서 경제활성화에 대한 강한 열망을 내비쳤다.
또한 '최저임금 대폭 인상'은 △20대(30.9%) △30대(25.8%) △40대(23.3%) 순으로 노동시장에서 활동이 활발한 연령대일수록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