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북한의 핵실험 발표에 따른 지정학적 긴장감과 국제유가 급락, 중국 경기 둔화 등 계속된 악재로 하락 마감했다.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2.15포인트(1.47%) 하락한 1만6906.51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6.45포인트(1.31%) 하락한 1990.26, 나스닥 지수는 55.67포인트(1.14%) 밀린 4835.76이었다.
이날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장중 한때 300포인트 넘게 급락했다. 다우지수는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1만7000선 아래로 떨어졌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 지수도 심리적 지지선인 2000선이 무너졌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이 3% 넘게 급락했으며 소재업종도 2% 이상 하락했다. 기술업종과 금융업종, 산업업종도 1% 넘게 주가가 떨어지는 등 전 업종이 내림세를 나타냈다.
특히 이날 오후 2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지난달 회의록 발표는 증시 악재로 작용했다. 12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일부 연준 위원들은 너무 낮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12월 금리 인상을 '아슬아슬한 결정(close call)'으로 표현했다.
중국 경제 둔화 우려와 북한의 수소폭탄 발사 소식도 주가를 끌어 내렸다. 앞서 중국 경제주간지 차이신은 1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17개월 만에 최저치인 50.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국제 유가도 증시 하락 요인이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5.6% 떨어진 배럴당 33.97달러를 기록했다.
국제 유가가 2004년 이후 약 11년 만에 최저가로 마감하며 관련주가도 크게 하락했다. 쉐브론은 3.95%, 엑손모빌은 0.83% 주가가 빠졌고 아파치 코퍼레이션은 11.49%, 머피오일은 10.93% 급락했다.
한편, 유럽 주요 증시 역시 중국 경기 우려가 불거지며 하락세였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의 DAX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93% 하락한 1만214.02였으며 프랑스 파리증시의 CAC 40 지수도 1.26% 내린 4480.47에 마무리됐다. 영국 런던증시의 FTSE 100 지수는 1.04% 떨어진 6073.3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