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계속된 경기불황으로 구직자들의 취업이 계속 힘들어지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대학 졸업예정자들은 졸업하자마자 실업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졸업을 미루고 있다.
실제 올해 졸업예정자 2명 중 1명은 졸업을 미룰 생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선배 직장인들은 졸업유예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았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대학 졸업예정자와 직장인 1657명을 대상으로 '졸업유예 계획과 생각'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먼저 올해 졸업예정자인 대학생 669명을 대상으로 졸업유예 의향에 대해 질문한 결과, 47.2%가 '졸업유예를 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고, 이들 중 32.6%는 이전에도 졸업유예를 한 경험이 있었다.
졸업을 연기하려는 이유에 대해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재학생 신분이 취업에 유리할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73.7%로 가장 많았다.
이어 △무소속 상태로 남는게 두려워서 29.4% △구직기간이 길어지는 것이 두려워서 19% △졸업예정자만 가능한 인턴 등에 지원해서 17.4% △어차피 취업준비로 학교에 있을 거라서 12.3% 등의 이유를 들었다.
졸업을 미루는 학생들의 예상 유예기간으로는 '한 학기'가 61.4%로 1위였고 '두 학기' 32%, '세 학기 이상' 6.6% 순으로 응답했다.
이미 취업한 선배들은 졸업유예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았다. 직장인 988명 중 51.4%가 '부정적'이라고 답한 것. 복수응답으로 알아본 결과 '서류만 봐도 공백기는 다 알 수 있어서'가 52.2%에 달했다.
차순위는 △오히려 나태해질 것 같아서 39.4% △시간관리를 못했다고 평가 받을 수 있어서 29.9% △어차피 다들 구직기간이 길어져서 25.4% △미졸업으로 인한 불이익을 볼 수 있어서 18.1% △막상 하면 후회하는 사람이 많아서 17.5% 등이었다.
또 실제 졸업유예를 한 경험이 있는 직장인 201명에게 졸업유예 만족도를 묻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2.2%로 '만족한다' 47.8% 보다 높았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학생 신분이 취업에 더 유리할 것 같다는 생각에 졸업을 미루는 대학생들이 많은데, 기업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졸업 시기가 아닌 해당 지원자가 어떤 역량을 갖췄는지"라고 말했다.
이어 "원하는 기업·직무를 위해 꼭 필요한 역량을 키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면 졸업 연기는 시간이나 추가 등록 비용 등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서 현명한 선택을 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