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수백억대 전일빌딩 리모델링, 광주시 경제정책자문관 개입 "왜?"

행정소통 강조된 민간 위촉 정책자문관이 공조직 무력화 '불만 확산'

김성태 기자 기자  2016.01.05 18:17:53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광주광역시가 공고한 '전일빌딩 활용방안 기본조사 및 기획설계용역'입찰에 모 경제정책자문관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해 12월 10일 나라장터에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고를 냈다. 계약방법은 일반경쟁입찰, 과업범위는 2016년 조사 및 설계 후 2017년 공사를 착공해 2018년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용역비는 부가세 포함 5500만원이다.

문제는 모 처에서 파견된 한 경제정책자문관이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등으로 구성된 한 컨소시엄(consortium)을 강하게 밀었다는 의혹이 번지게 된 것.

담당부서 관계자는 "그가 한 업체를 민 것은 사실"이라며 "그가 민 업체는 누가 보더라도 선정업체와 비교가 확실히 됐다"고 설명했다.

7인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는 지난달 22일 제안서와 가격 평가를 진행했고 협상순위와 협상적격자를 정했다. 선정업체는 한국도시설계학회와 2개 업체로 구성된 컨소시엄이다. 제안평과 결과는 7대0. 결국 경제정책관은 자격을 갖추지 못한 업체를 추천한 꼴이다.

이후 모 자문관은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수의 시 관계자는 "모 자문관이 이후 나에 대한 험담(잘라버리겠다)을 한다는 것을 들었지만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몇 가지 의혹이 사실로 확인되며 그의 개입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아마 윤장현 시장이 전일빌딩 리모델링 정책을 결정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용역이기 때문에 경제정책자문관으로 역할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해명했다.

반면,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관계자는 "용역 입찰에 선정되면 과업을 추진하게 되는데 그 범위는 먼저 전일빌딩 활용방안 기본조사 및 기본계획을 구상하게 된다"고 전언했다.

여기 보태 "리모델링 환경과 규모를 분석해서 공간의 배분과 리모델링 가능 면적, 층수의 범위 내에서 건축규모를 산정한다"며 "이 부분에 매력이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더불어 그는 '특정 기준에 맞춰 디자인인과 공법을 요구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용역에서 제안한 구조 검토 및 보강이 결정되면 마감재 등 공법을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5일 광주시에 따르면 전일빌딩 리모델링 사업은 U대회 성공개최와 월드컵 4강 성지를 찾는 체육인의 편의시설 및 아시아문화전당과 관련 문화지원 시설 등의 조성을 목적으로 추진된다.

시가 밝힌 기본 구상은 연면적 2만2470㎡(부지 2778㎡)에 EPIC(Eco·Peace·IT·Culture) 스포츠교류센터와 책 없는 도서관 E-library, 문화창조지원시설 조성을 포함하고 있다. 리모델링 비용은 300억원대로 알려졌다.

한편, 최근 광주시 공무원조직 내에서는 윤장현 시장이 민간 전문가를 통한 시민과의 소통 행정을 넓히겠다며 위촉한 정책자문관이 공조직을 무력화시키고 있다는 불만의 소리가 확산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