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현재 고화질(HD) 방송보다 4배 더 선명한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이 2017년 2월 본방송을 시작한다. 이를 위해 지상파는 향후 12년간 총 6조7902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29일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성준)와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31개 지상파방송사·가전사·연구기관 등과 '지상파 UHD 방송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을 수립·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평창동계올림픽 1년 전인 2017년 2월 KBS·MBC·SBS는 수도권부터 지상파 UHD 본방송을 개시한다.
같은 해 12월 광역시권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과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 일원(평창·강릉 등)에서 지상파 UHD 본방송을 시작한다.
이 외 시·군 지역은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해 2021년까지 전국적으로 지상파 UHD 방송 도입을 완료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유럽식(DVB-T2) 표준과 미국식(ATSC 3.0) 표준을 비교·검토해 내년 6월까지 지상파 UHD 방송 표준을 결정할 계획이다.
또, 700㎒대역 중 UHD 방송용으로 신규 배정된 5개 채널용 주파수와 현재 HD 방송용으로 사용 중인 채널을 조정해 마련된 주파수를 활용, 전국적으로 UHD 방송이 가능하도록 주파수를 공급키로 했다.
지상파방송사는 UHD 방송을 위해 향후 오는 2027년까지 12년간 총 6조7902억원을 투자한다. 구체적으로 방송 제작·송신시설 확보 등 UHD 시설·장비 투자에 9604억원, UHD 콘텐츠 제작에 5조8298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UHD 방송 허가 때 투자계획 이행을 허가 조건으로 부과한 후 매년 이행 실적을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지상파 방송 수신가구 간 프로그램 시청에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UHD 방송채널과 기존 HD 방송채널을 동일 프로그램으로 편성해 동시 방송하도록 한다.
2017년에는 UHD 최소 편성비율을 5% 이상으로 권고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7년에는 100% 편성이 되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지상파 UHD 방송 개시에 따라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및 규제 개선 관련 로드맵을 수립해 단계적으로 검토·추진한다.
우선, 지상파 방송 수신환경을 개선하고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에는 UHD 방송체험관을 구축·운영해 해외 유수의 방송사 등에게 국내 UHD 방송 기술·장비 등을 홍보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시청권 보호 및 시청자 편의 등을 종합 고려한 인터넷주소(IP) 기반 부가서비스 활성화 및 HD 이동수신 도입 여부를 검토한다.
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지상파 UHD 방송 도입으로 보다 선명하고 생생한 고품질의 방송콘텐츠를 국민 누구나 무료 보편적으로 누릴 수 있게 됨에 따라 시청자 미디어 복지가 한층 향상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방송사, 가전사 등과 함께 민·관이 협력해 지상파 UHD 방송을 조기에 안착시키고 중장기적인 진흥책과 제도 개선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지상파 UHD 방송의 도입을 계기로, UHD 콘텐츠-장비-플랫폼으로 이어지는 지속 가능한 UHD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해 UHD 방송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가시화하고, UHD 평창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국제 표준 및 방송기술 선도 등을 통해 UHD 글로벌 리더쉽을 확보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