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이하 문체부)·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조양호, 이하 조직위)는 자동통번역 서비스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3개 기관은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엘타워에서 MOU를 맺고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이하 평창올림픽)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상호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이번 MOU는 국내 자동통번역 기술을 적용해 언어장벽 없는 평창올림픽을 실현하고,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과 관련 융·복합산업 및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이에 미래부는 한국어와 7개 언어 간 자동통번역 기술개발 및 고도화를 통해 통번역 성공률 향상을 추진한다. 문체부는 한국 관광에 특화된 자동통번역 서비스 현지화와 홍보를 맡는다. 조직위는 한국어와 7개 언어 간 자동통번역 서비스 운영·홍보와 서비스 시스템 운영 관리를 진행한다.
3개 기관은 필요한 전문인력과 예산·행정지원 등을 협력하기로 하면서 원활한 업무 협력을 위해 '언어장벽 없는 평창올림픽 추진협의체(가칭)'를 구성·운영키로 했다.
이번 평창올림픽에서 자동통번역 서비스는 원격서버 접속형과 단말 탑재형으로 제공된다. 원격서버 접속형은 해외 로밍으로 인한 요금부담 해소를 위해 기가 와이파이 존을 활용, 스마트폰용 앱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단말 탑재형의 경우, 평창·강릉 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해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황에서도 실시간 언어소통이 가능하도록 스마트폰에 단말을 부착해 이용하는 서비스다.
이날 업무협약식에 참석한 김상표 조직위 부위원장은 "언어서비스가 지금까지는 의전용 등 한정적으로 제공돼왔으나,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최고의 자동통번역 서비스를 전 세계인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폭넓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