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국은행이 오는 2017년부터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기회의를 연 12회에서 8회로 조정한고 나머지 4회를 금융안정 관련 회의로 대체하기로 했다.
한국은행은 24일 오전 금통위를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의 금통위 조정안을 의결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번 결정은 회의 운영체계 개선을 통해 통화정책 결정의 유효성을 높이는 동시에 금통위가 금융안정 상황을 정기회의에서 정례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금통위 정기회의는 기준금리 결정 회의(8회), 금융안정 관련 회의(4회), 기준금리 외에 공개시장조작 등 기타 주요안건 회의(동일·12회)를 포함 현행대로 24회 개최된다.
현재 한은 금통위는 매월 둘째 주와 넷째 주 목요일에 개최된다. 이중 둘째 주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넷째 주 회의에서는 기준금리 외에 공개시장조작 등 기타 주요 안건을 다룬다.
한은의 이번 결정은 파급시차를 고려한 중기적 시계의 통화정책 수행 기반을 마련하고 경제 전망과 통화정책방향 의사결정 간 연계성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일반적으로 통화정책 결정의 주된 고려사항인 경기, 물가 등 실물 경제 상황은 완만하게 변화하는 것과 통화정책이 실물경제에 파급되는 데에도 상당한 시차가 존재한다는 이유에서다.
변동성이 큰 월별 경제지표 움직임에 금융시장이 과민반응하면서 불필요한 정책 기대가 형성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점도 고려했다.
이와 함께 한은은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횟수 조정과 함께 의결문 기술 및 동향 자료 공개 방식을 개선해 정책결정 배경에 대한 설명을 보다 명확히하고 경제전망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금융시장 참가자 등 일반 경제주체가 통화정책 결정의 배경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통화정책 결정회의 전후에 공개되는 '국내외 경제동향' 및 '금융시장 동향'의 내용과 기술 방식을 개선하고 자료 공개범위를 확대한다.
또한 금융시장 간 소통 확대를 위해 주요 금융, 경제 이슈에 대한 금통위원의 공개 강연, 기자간담회 등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