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기업공시 업무를 종합지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돼 공시업무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한국거래소와 금융감독원, 한국상장회사협의회는 23일 오전 한국거래소에서 기업공시 종합지원시스템(K-CLIC) 시연회를 열고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K-CLIC는 지난 5월19일 금융위원장이 주재한 '기업공시제도 현장간담회'에서 제기된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이다.
간담회 당시 각 기업 공시담당자들은 회사에 산재된 모든 공시정보를 일일이 확인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고 관련 규정, 서식 등이 번번히 개정돼 실무자가 이를 숙지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금융위원회는 종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기업의 공시자료 입력부터 자료생성·제출과정이 One-stop 지원되는 효과가 발생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K-CLIC의 주요 개선사항을 살펴보면 우선 공시담당자는 기업의 각종 사건이 발생했을 때 공시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해야 했지만 앞으로 공시업무 통합검색을 통해 공시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공시기준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공시항목·서식이 개정될 경우 K-CLIC를 통해 개정된 서식이 시스템에 자동 업데이트돼 담당자가 개별 확인 후 작성하는 번거로움을 덜게 됐다.
이 밖에도 공시담당자가 모든 공시자료를 직접 만들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이나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KIND)에 별도로 입력하는 방식에서 개별자료를 입력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공시정보로 변환해 DART·KIND에 전송될 예정이다. 단 DART와 KIND 제출 기능은 내년 상반기부터 서비스된다.
정찬우 금융위 부위원장은 "K-CLIC 시스템을 통해 그간 복잡한 공시제도와 과도한 작성부담으로 애로를 겪었던 부분들이 개선됐다"며 "이 시스템이 기업공시 정보생산 비용의 획기적인 감축과 투자정보의 적시성 있는 공시를 유도하는 자본시장 내 '혁신의 아이콘'으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