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21세기 첨단산업 중 하나가 관광산업인데 언제까지 외국 관광객에게 고궁만 보여줄 수는 없다. 잠실 일대에 종합 관광단지를 개발하고 한국에도 세계적인 명소가 있어야 관광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다." -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 회장
신격호 총괄 회장의 염원으로 시작된 초고층 사업 롯데월드타워(제2롯데월드)가 골조공사를 완성하며 한국내 가장 높은 곳에 대들보를 올렸다.
롯데물산은 22일 오후 2시30분부터 정·재계 관계자와 롯데 임직원 등 총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타워 76층에서 상량식을 개최했다.
'The Great Moment(가장 위대한 순간)'라는 주제로 열린 롯데월드타워 상량식은 타워 1층 공사현장에서 상량 기원문과 일반 시민들의 소망과 서명이 새겨진 대들보(철골 구조물)가 상승하며 시작됐다.
'상량식'은 건물을 세울 때 외부공사를 무사히 마무리하고 내부공사에 들어가기 전에 치르는 의식으로 대들보에 안전과 번영을 기원하고 액을 막아주는 용과 거북이 글자인 '龍(용)'과 '龜(귀)'를 새긴 기원문도 새겨 올려졌다.
롯데월드타워는 초고층 사업 추진 후 마스터플랜만 23번 보강됐다. 세계적인 디자인 회사들이 제안한 타워 디자인 제안도 수십번 바뀌었다.
2010년 11월 착공에 들어간 롯데월드타워는 2011년 세계적 규모의 기초공사에 이어 본격적인 초고층 건설에 나서 지난해 4월 국내 건축물 최고 높이(305m)를 넘어섰고 올해 3월에 국내 최초로 100층(413m)을 돌파했다.
그리고 착공 5년 2개월(1880일)만에 123층에 도달했다. 22일 현재 롯데월드타워 구조물 높이(508m)는 한국에서 가장 높고 현재까지 완공된 전 세계 초고층 빌딩들과 비교했을 때 전 세계 5위를 차지한다.
내년에 롯데월드타워가 본격 운영되면 기존 롯데월드몰, 롯데월드 어드벤쳐, 석촌호수 등과 함께 관광벨트가 형성되면서 1억명 이상 국내외 관광객과 유동인구를 발생시켜 서울과 한국 경제에 기여하는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노병용 롯데물산 대표이사는 "파리의 에펠탑처럼 롯데월드타워도 전 세계인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는 낭만의 건축물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총 10조원가량 경제파급효과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거대한 프로젝트를 앞으로 철저시공으로 안전하게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진도 9 지진·순간 최대풍속 80㎧도 견디는 내진·내풍 설계
롯데월드타워의 75만톤 무게는 서울시 인구 1000만명 몸무게(75kg 성인남자 기준)와 같다.
롯데월드타워는 이런 하중을 견디도록 지하 38m 깊이까지 터를 파고 그 화강암 암반층에 30m 길이, 직경 1m의 파일 108개를 설치했다. 그리고 그 위에 좌우 길이 72m, 두께 6.5m의 국내 최대이자 세계적인 규모인 기초 매트(MAT) 공사를 진행했다.
5300대 레미콘이 32시간 동안 8만톤 고강도 콘크리트를 부어 만든 기초매트는 축구장 크기 80%로 두바이 '부르즈 할리파(매트 두께 3.7m)'보다 1.8배 두껍고 콘크리트 양도 2.5배 많다. 총 공사에 32평 아파트 5500세대 가량을 지을 수 있는 22만㎥ 규모 콘크리트가 투입됐다.
특히, 롯데월드타워는 일반 콘크리트의 3배 이상 고강도이자 화재 발생 시 최소 3시간 이상 버티는 고내화 콘크리트를 사용했다. 여기에 건물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코어월(Corewall)과 8개의 메가칼럼을 세워 수직중력을 지탱하게 했다.
롯데월드타워는 건물 40층마다 1개씩 중심부 기둥들을 묶어 벨트 역할을 하는 첨단 구조물 '아웃리거'와 '벨트트러스'가 설치, 진도 9의 지진과 순간 최대풍속 80㎧의 강풍에도 견딜 수 있는 내진 및 내풍 설계가 됐다.
보통 초고층 건물의 내진설계는 '리히터 7'이 기준이지만 롯데월드타워는 진도 7의 파괴력보다 에너지량 기준으로 15배 크고 2400년 주기로 한번 오는 것으로 알려진 '리히터 9'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진 설계를 했다.
롯데월드타워 상층부에는 120m 높이에 달하는 초대형 다이아그리드 구조물이 설치된다. 세계 최고 높이(기존 국제금융센터 438.6m, 중국 광저우)에 설치되는 이 구조물은 댓살을 교차시켜 만든 죽부인 원리처럼 기둥 없이 건물의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다.
건물 외관에 장착된 2만여개 유리창 '커튼월(Curtain wall)'은 전체 면적 11만4000㎡로 이를 펼치면 잠실 종합운동장과 야구장 주변을 덮을 수 있다.
공사장에 투입된 30만대 레미콘이 늘어서면 길이가 서울에서 부산까지 6번 이동할 수 있다. 롯데월드타워 최고층 현장에 국내 최초로 건설 현장에 사용된 2대의 64톤급 타워크레인(호주 FAVCO 제품, 무게만 32톤)도 국내 최대 규모다.
김치현 롯데건설 대표이사는 "롯데월드타워는 설계, 기초공사, 시공기술 등 세계에 내놔도 한점 부끄럼 없는 초고층 기술 집합체"라며 "이 곳에서 축적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파트너사들과 근로자들이 세계 초고층 건설 현장으로 뻗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6년 '미래 수직도시' 완공, 경제파급효과·이익환원 동시 제공
내년에 롯데월드타워가 완공되면 한국 도시계획과 경제발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미래 수직도시'가 탄생할 것으로 롯데 측은 판단하고 있다. 지난해 개장한 롯데월드몰과 기존 롯데월드 어드벤쳐와 함께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지역상권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도 기대하는 중이다.
특히 1년에 약 400만명 해외 관광객이 잠실지역을 찾아 연간 8000억원 이상 외국인 관광수입이 발생될 것으로 보이며 연간 1600억원 세수효과와 400억원의 인근상권 활성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결과, 롯데월드몰·타워 개발에 따른 일자리도 2만개 이상 창출될 전망이다.
경제적 효과 창출 외에도 롯데는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도 함께 전개해 기업의 이익을 지역과 국가에 환원해 나갈 예정이다. 잠실 인근 교통혼잡 최소화와 근본적인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지하 버스환승센터 신설 등 총 5800억원 가량의 비용을 투자해 현재 추진 중인 교통개선 대책을 강화할 방침이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롯데월드타워 건설은 한기업 차원의 사업을 넘어 국가경제에 기여하고 시민들에게 기업의 이익을 환원하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라며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인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