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개발된 핀테크 서비스가 금융전산망에서 작용하는지 시험해 볼 수 있는 '핀테크 테스트베드(test-bed)가 서울 여의도와 경기도 분당에 각각 문을 열었다.
이는 지난 7월15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권 공동 핀테크 오픈 플랫폼 구축방안'에 따른 조치다.
핀테크 오픈 플랫폼이란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이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장으로 금융회사 내부의 서비스를 표준화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형태로 제공하는 Open API와 테스트베드를 더한 개념이다.
테스트베드를 통한 시뮬레이션 환경이 구축돼 핀테크 기업의 서비스가 금융전산망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가상의 데이터를 활용해 사전에 검증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코스콤과 금융결제원은 현재 16개 시중은행 및 18개 주요 증권사, 핀테크 기업 등이 참여해 진행 중인 '금융권 공동 Open API 시스템 구축'이 내년 6월경 완료되면 핀테크 기업들이 더욱 쉽고 빠르게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금융회사별로 일일이 시스템 연동작업을 거치지 않아도 Open API 플랫폼 구축에 참여한 금융회사 전체와 연동이 가능한 핀테크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코스콤에서 열린 '자본시장 핀테크 테스트베드 개소식'에는 임종룡 금융위원장, 정연대 코스콤 사장, 김종화 금융결제원장 등 1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임종룡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새로운 플레이어와 서비스로 상징되는 핀테크 산업 육성은 금융개혁의 핵심과제"라고 강조하며 "핀테크 테스트베드와 오픈플랫폼이 금융산업의 생기와 활력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공장으로 성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별도의 연동 없이도 송금과 계좌 조회, 시세 조회 등을 표준화된 AIP형태로 제공하는 오픈 API을 활용한 기술이 시연하기도 했다. 핀테크 기업 뉴지스탁은 가상데이터와 API를 활용해 주식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선보였다.
향후 코스콤과 금융결제원은 핀테크 지원센터와 연계된 테스트베드 웹페이지를 오픈해 사전 신청 후 테스트베드 센터를 방문하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기술 컨설팅 및 서비스 검증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