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현대자동차(005380) 노동조합이 오는 16일 민주노총 총파업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15일 회의에서 현대차 노조는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의 총파업 지침에 따라 1·2조 근무자가 각각 2시간씩 총 4시간 파업하는 것은 물론, 잔업도 거부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조가 16일 오후 1시30분부터 2시간, 2조는 오후 3시30분부터 2시간 각각 파업할 예정이다. 아울러 오전 0시20분부터 70분간 하는 2조 근무자의 잔업도 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노조는 파업 후 오후 2시30분부터 울산공장 본관 앞에서 전체 조합원 집회를 열고, 이어 오후 4시 민주노총 울산본부 주관으로 열리는 태화강 둔치 집회에도 참가할 예정이다.
이번 부분파업에는 △전주공장 △아산공장 △남양연구소 △모비스 △정비와 판매 부문 조합원도 참여한다.
무엇보다 현대차 노조의 이번 총파업 동참과 관련해 업계 안팎에서는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임금 및 단체 협상과 전혀 관련이 없는 '정치파업'이기 때문이다. 특히 박 위원장은 지난 2006년 집행부를 이끌 당시에도 10여 차례의 정치파업을 비롯해 모두 40차례 이상 파업한 강성이다.
이처럼 지난달 선거에서 당선된 박 위원장이 두 달 만에 파업에 나서면서 현대차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 측은 "정치파업에 대해서는 법적 대응을 할 것"이라며 "이번 파업은 상호신뢰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행위"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 노사는 이날 오전 울산공장 아반떼룸에서 올해 중단된 임단협 교섭을 재개했지만, 별다른 협의 없이 향후 교섭 방식 등에 대해 논의하고 30여 분만에 마무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