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는 성인 남녀 1198명에게 '올해 체감하는 대한민국의 만족도와 2016년의 바램'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먼저 설문에 참여한 이들에게 '2015년 대한민국 만족도'를 점수로 매기게 했다. 그 결과 올해 체감하는 대한민국의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전체 평균 47.5점으로 집계됐다.
보통을 의미하는 중간 점수(50점)에도 다소 못 미치는 수준으로 대부분의 응답자가 올해 대한민국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풀이됐다.
실제 5점 척도로 '현재 대한민국에 만족하는가?' 조사한 결과에서도 '불만족한다(매우불만족 21.1%+대부분 불만족 37.1%)'는 답변이 과반수이상인 58.2%로 높았다. 이는 '만족한다(매우만족 3.1%+대부분 만족 8.9%)'는 답변 12.0%의 약 5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가장 불만족하는 분야는 △교육 △고용 △결혼 △출산 등을 이르는 '사회분야'로 불만족한다는 응답자의 37.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정치(35.9%) 경제(22.4%) 순이었다. 반면 불만족한다는 답변이 가장 낮았던 분야는 '생활문화'로 1.4%에 그쳤다.
잡코리아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 4명중 1명에 달하는 25.1%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부심을 느낀다'고 답했다. 반면 '보통'이라는 답변이 38.6%로 가장 많았고 '자부심이 없다'는 응답자도 36.2%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가장 자부심을 느끼는 부분은(복수응답) '한글'로 응답률 43.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어느 나라 보다 빠른 인터넷 등 뛰어난 IT기술'에 자부심을 느낀다는 응답도 35.6%에 달했다.
이 외에도 △빠른 경제성장을 이룬 것(20.6%) △한류를 이끄는 엔터테인먼트 산업 (15.8%) △김치 등 고유의 음식 (12.9%) △편리한 대중교통 시설(12.2%) △높은 의료수준과 상대적으로 낮은 진료비(11.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해에 비해 2016년에 대한 기대감을 잡코리아가 조사한 결과 2명중 1명에 이르는 51.6%가 '올해와 비슷할 것 같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올해보다 악화될 것 같다'는 답변이 31.9%로 높았다. '올해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답변은 16.5%에 그쳤다.
이어 2016년 대한민국에 바라는 점(복수응답)을 묻는 질문에는 '고용 증가로 실업난이 해소되었으면 좋겠다'는 답변이 응답률 51.6%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보육비 지원, 취업 지원 등 다양한 분야 복지 향상(27.6%)'이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전세값 안정 등 부동산 관련 대책 마련(26.9%) △물가 안정(19.6%) △정치 민주주의 성장(15.8%) △내수활성화로 체감경기 상승(12.3%) △결혼·출산율을 증가할 수 있는 대책 마련(11.7%) 등의 의견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