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여야, 총선 선거구획정 담판회동

의석수 조율엔 '공감' 비례대표 선출방식 놓고 의견 엇갈려

이윤형 기자 기자  2015.12.12 11:18:24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12일 내년 4월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적용할 선거구 획정 기준 마련에 관한 담판 회동에 들어갔다.

이날 협상은 총선 예비후보 등록일(15일)을 사흘 앞두고 시작된 것으로, 이번에도 여야 간 합의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내년 총선 예비후보로 등록코자 하는 출마자들은 정상적인 선거운동이 불가능해진다.

당장 15일까지 선거구 획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출마자들은 여야 협의 결과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성이 있는 현행 선거구에 예비후보로 등록해야 한다.

또 연말까지도 선거구 획정이 마무리되지 않는다면 현행 선거구는 모두 무효가 돼 예비후보자들은 선거구 획정이 완료될 때까지 법이 보장한 선거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은 그동안의 협상과정에서 내년 총선에서도 국회의원 정수를 현행 300명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의석(현 246석)은 7석가량 늘리고 비례대표 의석을 줄인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비례대표 선출 방식을 놓고는 이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지역구 당선자 수가 적더라도 정당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을 더 배분하는 방식의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지만, 새누리당은 이에 반대하고 있다.

이날 협상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 외에도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야 간사인 이학재·김태년 의원이 배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