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해 10월 단말기유통법 시행 이후 실시된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을 선택한 가입자가 400만명을 돌파했다.
11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요금할인 가입자수는 총 400만2969명이다.
공시지원금 대신 20%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는 이 제도는 기존에는 12% 요금할인율로 적용됐으나, 지난 4월부터 20%로 상향됐다.
이에 지원금이 낮은 고가의 스마트폰 등의 경우, 요금할인을 통해 구입하는 편이 소비자에게 더 유리하게 작용해 점점 호응을 얻기 시작했다.
할인율 상향 이후 요금할인 신규가입자는 총 382만7096명으로, 일평균 1만6640명이 가입한 셈이다. 이는 기존 12% 요금할인 일평균 가입자 858명보다 19.4배 많다.
요금할인 가입자의 약 77.4%는 단말기 구매 때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을 선택했고, 24개월 약정만료 때 가입자는 약 22.6%를 차지했다.
단말기 구매자 중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소비자 비중은 이동통신 3사 평균 21.1%로, 최근 증가하는 추세다.
한편 요금할인 가입자 중 3만원대 이하 요금제 가입자는 43.8%, 4~5만원대 요금제 가입자는 53%를 기록했다. 6만원대 이상 요금제 가입자는 3.2%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