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KT-해수부, 해상 안전 통신망 확보 위해 '맞손'

통신두절 원해서도 긴급연락…해상안전솔루션 공동 준비

최민지 기자 기자  2015.12.08 16:55:00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KT(030200·회장 황창규)는 육지와 멀리 떨어진 바다에서도 LTE 통신이 가능한 'LTE SOS(Stand on Ship)' 기술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시킨 해상안전통신망을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와 공동 구축한다.
 
8일 KT는 서울 KT광화문빌딩 East에서 해수부와 해상 안전 통신망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영석 해수부 장관과 황창규 KT 회장이 참여해 해상안전통신망 확보를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민관협력을 통해 해상 조난사고 발생을 대비한 긴급 통신망 구축 △국가 어업지도선 등에 위성 LTE SOS 기지국 설치 △원활한 LTE 통신을 위한 해상 위성통신 용량 확대 △KT SAT와 협업한 통신망 기술지원 및 유지보수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해상안전솔루션 개발 등이다.
 
이에 따라 전파가 미치지 못한 원해에서도 긴급상황 때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개발된 위성 LTE SOS 기지국을 선박에 설치하면 KT SAT의 무궁화위성으로부터 통신신호를 받아 반경 10㎞의 선박들은 통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위성 LTE SOS 기지국은 위성 안테나로 수신한 위성 신호를 LTE 신호로 변환해 넓은 해상 지역에 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위성 인프라를 이용하지만 별도 추가요금 없이 기존 요금제 그대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KT와 해수부는 내년 2월까지 총 21척의 어업지도선에 위성 LTE SOS 기지국 설치를 완료하고 선박들이 먼 바다에서도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KT는 해수부와 공동으로 IoT 기술과 첨단 드론 등을 활용한 해상안전솔루션 개발을 추진한다. 이 솔루션은 구명조끼에서 부착된 각종 통신장비를 통해 조난자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LTE SOS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IoT 기술을 적용한 구명조끼는 방수처리와 함께 초소형화한 전용모뎀과 GPS, 최대 5년의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배터리 등으로 구성됐다. 드론 LTE를 이용할 경우 보다 넓은 지역으로 신호를 전송 가능하다.
 
이 기술은 내년 상반기 상용화를 목표로 진행 중이며 조만간 시범 적용을 통해 효용성을 입증할 예정이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장은 "이번 위성 LTE SOS 기지국은 민관이 해상안전을 위해 함께 고민하고 노력한 대표적인 협력사례"라며 "앞으로도 정부와 함께 국민 안전 실현에 더욱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