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인터파크는 쇼핑·도서·투어·ENT 부문별로 최신 IT 기술을 도입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선보인 결과, 사업부문별 모바일 거래비중이 전년 대비 평균 101.2%의 증가율을 보였다고 7일 밝혔다.
인터파크쇼핑은 지난 9월 기준 연초 대비 모바일 거래가 3배 이상 증가했으며 쇼핑 전체 거래 중 모바일 거래 비중 역시 43%를 차지했다. 또 모바일 거래 비중은 기준 전년 대비 265% 증가했다.
인터파크 관계자는 "인터파크가 오픈마켓 업계 모바일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며 "모바일 쇼핑의 편리함을 극대화하고자 적용된 '딥링크(Deeplink)' 기능과 모바일 웹 쇼핑 사이트 '글로벌 인터파크' 오픈 및 '피츄인(fitUin)', '아이토이즈(itoys)' 앱 출시와 같은 모바일 서비스·기능 강화가 주도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6월 적용한 딥링크 기능은 고객이 모바일 검색·광고를 통해 상품을 확인했을 때, 인터파크 메인 페이지가 아닌 상품 상세 페이지로 바로 연결되도록 해 고객의 쇼핑 프로세스를 간소화했다.
올해 상반기 인터파크에서 출시한 피츄인은 고객이 구매하고 싶은 옷을 미리 자기 사진에 입혀보고 코디 해 볼 수 있는 패션 스타일링 앱이다. 현재 피츄인에 적용된 가상의 피팅 기술은 글로벌 특허를 출원 중이다.
인터파크는 이러한 차별화 모바일 사업 전략 혁신성과 글로벌 개척 등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최근 진행된 '2015 아시아 통신판매 비전 시상식(Asia Direct Marketing Vision)'에서 모바일 분야 최우수 기업상을 받은 바 있다.
인터파크투어는 통합 앱 인터파크투어 외에도 인터파크항공·체크인나우·해외호텔 등 항공권, 숙박 앱을 별도로 운영하며 모바일 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3년 9월에 선보인 국내 숙박 거래량 1위 앱 체크인나우는 올해 9월 기준 누적 다운로드 수 330만건을 돌파하며 그 인기를 입증하고 있다. 체크인나우는 당일 초특가 할인 코너 '투나잇온리'와 상시 최저가 코너 '핫세일존' 등으로 입소문을 탔다.
이에 투어부문 전체 거래 비중 대비 모바일 거래 비중이 2013년 1분기 6%에서 2015년 3분기에 37%를 차지하는 등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터파크도서는 2013년 1분기 도서부문 전체 거래 비중에서 모바일 거래 비중이 4%에 불과했으나 2년 만에 20%로 약 5배 증가했으며, 올해는 전년 대비 41% 성장했다.
지난 2010년 인터파크도서는 국내 최초로 통합 전자책 서비스인 '비스킷(biscuit)'을 론칭, 스마트폰에서도 즐길 수 있는 앱을 함께 선보인 바 있다. 현재 '비스킷 3.0'으로 앱스토어 및 안드로이드를 통해 무료 서비스 중이며 100만명 이상 다운로드 된 베스트셀러 앱으로 자리 잡았다.
주세훈 인터파크 마케팅지원실 실장은 "인터파크는 모바일 사용자 증가 추세에 맞춰 고객 편의를 극대화하고자 수요자 중심 모바일 '온디멘드(On-demand)'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보다 전문적이고 차별화된 서비스로 전자상거래 시장의 모바일 사업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