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이화 기자 기자 2015.12.04 19:11:45
[프라임경제] 2015년 11월 기준 인터넷신문은 6941개. 불과 8년 전 927개였던 인터넷신문은 증가된 수만큼 영향력이 확대됐다. 반면 질적 저하, 공적책임 결여 등 인터넷신문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커졌다. 이에 각계 단체는 '자발적 심의'로써 인터넷신문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인터넷신문 민간자율심의기구인 인터넷신문위원회(위원장 방재홍, 이하 인신위)가 주최하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이 후원한 '인터넷신문 자율심의 개선 추진 공청회'가 4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인신위는 이 자리에서 인터넷신문 자율규제 활동을 검토해온 결과와 최종 개선안을 발표했다.
인신위는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학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등 6개 단체와 공동으로 '인터넷신문자율심의 개선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를 구성, 인터넷신문 자율심의규정 개정과 개선작업을 추진해왔다.
◆"기사형 광고, 명확히 광고로 분류해야"
추진위 TF팀을 이끈 하주용 교수는 이 같은 작업 착수 계기에 대해 "저널리즘의 품질 향상과 이를 통해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특히 기사형 광고에 대해 "분명히 광고로 분류돼야 독자에게 허위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지적된 인터넷신문 기사의 문제점은 기사와 광고의 구분을 명확히 하지 않은 사례가 가장 많았고, △반복전송(어뷰징) △출처표기 미비 등이 뒤를 이었다. 광고의 경우 △선정성 △기사와 광고의 구분 모호 △허위과장 등이 꼽혔다.
추진위는 각 매체가 실시해야 할 자율심의 개선안으로 △협찬·후원으로 인한 기사는 출처를 밝혀 일반 기사와 구분 △어뷰징 지양 △금품·향응, 광고·협찬 금지 △출처를 밝히지 않고 기사의 절반 또는 3개 문단 이상 전재 금지 등을 제시했다.
김병희 서원대학교 교수는 "3진아웃제를 적용하는 등 각 언론사의 낚시성 제목에 대한 제제도 필요하다"도 제안했다.
◆사회적 인정장치 등 자율심의 환경조성 절실
인터넷신문 자율심의가 활발히 이뤄질 수 있는 '환경조성'에 대해서도 논의됐다.
추진위는 △자율규제 서약에 충실한 인터넷신문에 대한 사회적 인정장치 마련 △기사형 광고 유통구조 개선 △선정적 광고물 유통에 대한 관련 업계 책임성 강화 △자율규제 활동 동참 유도 등을 자율규제체제 강화 방안으로 내놨다.
방재홍 인터넷신문위원장은 "인터넷신문의 자율심의가 잘 되도록 언론에 대한 사회적 인정장치가 필요한데, 위원회에서는 이러한 장치 마련을 위해 애써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종엽 프라임경제 이사는 "인터넷신문을 사이비 언론으로 폄하하는 움직임은 지양돼야 하며 특히 포털은 자율심의 준수 매체에 대한 가점 부여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송출내용의 위법성·선정성 등에 대한 형사고발, 의견서 제출 등도 고려 사항으로 지적됐다. 특히 언론사의 수익구조 및 출입처 관리 등에 대한 현실적 고찰이 요구된다는 의견도 있었다.
방재홍 위원장은 "오늘 공청회를 통해 자율심의 개선은 물론 심의를 통한 생태계의 안정적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