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내년도 미래부 예산이 올해 14조3383억원보다 791억원 증액된 14조4174억원으로 편성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국회 심의 과정에서 미래부의 창조경제·과학기술 및 ICT 관련 주요 사업 예산들 대부분이 정부안으로 인정되거나 국회에서 추가로 증액됐다. 이에 내년도 미래부 예산은 국회 심의 과정에서 862억원 순증됐다.
미래부 연구개발(R&D) 예산 규모는 6조5571억원으로 올해 6조5138억원보다 433억원 증액됐다. 달 탐사 사업 예산은 200억원으로 결정됐다. 우리나라가 처음 시도하는 우주 탐사를 위해 위성개발보다 고도화된 핵심기술 확보 차원에서 국회 심의과정을 통해 100억원 추가 증액된 것.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 개발 사업도 90억원이 추가된 150억원 사업 규모로 정해졌다. 이 또한 국회 심의과정에서 육·해·공 무인이동체의 미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공통핵심기술 개발 필요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67억원이 신규 반영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산업 4.0s은 고부가가치 선박 개발 및 조선해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규사업이다.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소재 개발 사업은 맞춤형 IT기기 시장에서의 주도권 선점을 위해 국회 심의과정에서 20억원 신규 반영됐다.
미래부 측은 "어려운 재정 여건 하에서도 국회 심의 과정에서 증액 통과된 주요 사업 예산들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내년 1분기 중 디지털 예산브리핑 시스템을 구축해 미래부 예산들이 어느 분야에 얼마만큼 쓰이는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