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업체 포티넷코리아(지사장 조현제)는 2일 서울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오는 2016년 멀웨어 및 네트워크 보안 분야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는 보안 위협 요소를 발표했다.
포티넷코리아의 조사 기관인 포티가드랩이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에는 M2M 신뢰도가 높은 통신 프로토콜을 타깃으로 하는 멀웨어 및 바이러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표적으로 하는 전용 윔·바이러스와 기업 클라우드 가상 환경 호스트 운영 시스템에 접근하는 잠재적 멀웨어 증가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감지 시도가 포착되면 그 즉시 시스템을 정지하거나 파괴해 버리는 '블러스트웨어'와 해킹 흔적을 아예 삭제해 데이터 유실 규모조차 파악할 수 없게 만드는 '고스트웨어' 역시 2016년 네트워크 보안을 위협하는 사례다.
이외에도 포티넷코리아는 현재 많은 기업들이 도입한 샌드박싱 기술을 통과하면 악의적인 페이로드를 실행하는 멀웨어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조현제 포티넷코리아 대표는 "많은 기업들이 나날이 증가하는 정교한 위협과 연이은 대규모 데이터 유출 사고로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보안 전략을 원하고 있다"며 "우리는 2016년 '포티가드랩코리아' 출범을 계획하는 등 한국 시장에 맞춤화된 공격 분석 및 수요 파악을 통해 체계적인 대응 체계를 마련해 가장 인정받는 보안업체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 국내 대기업과 주요 은행 및 3대 메이저 통신사를 고객사로 확보한 포티넷코리아는 전년 대비 50% 성장을 목표로 신규 총판 및 지역 거점 파트너를 적극 영입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