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토교통부는 강호인 장관이 2일 오전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취임 후 건설업계 대표들과 첫 간담회를 열고 '건설산업의 글로벌 경쟁려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건설산업의 현 주소를 진단하고, 미래 비전과 방향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서 강 장관은 "건설업계는 대내적으로 SOC 확충과 도시화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어 국내시장의 양적 확대를 기대하긴 어렵고, 대외적으로도 저유가로 인해 중동 건설시장이 위축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1991년 GDP의 23%에 달했던 건설투자는 현재 14%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해외건설 부문에서는 매출 세계 5위, 누적 수주액 7000억불 달성 등 양적인 부분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뤘지만 수익성 등 부가가치 측면에서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어 강 장관은 건설산업의 미래방향에 대해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미래의 먹을거리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단순시공으로 부족하다"며 "기술·산업간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경쟁력 있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강 장관은 △건설업계의 입찰제도 변별력 제고 △경직된 칸막이식 업역체계 유연화 △불공정관행 개선 등을 위한 노력도 계속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저가수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외건설에는 "국내기업의 진출을 확대해 사업의 수익성도 높여야 한다"며 "건설업계가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 영역의 경쟁력 제고와 파이낸싱을 통한 투자개발형 해외사업을 활성화하는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타겟 국가별 지역 전문가 양성은 물론, 수익성 분석과 리스크 관리능력을 키워 나가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한국형 상생모델 수출을 위한 적극적인 건설 외교는 물론, 최근 발표한 '코리아 해외 인프라 펀드(KOIF)' 조성 등을 통해 금융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