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LG전자 수장인 구본준 부회장이 B2B 전략 등 그룹 전반의 새 활력 불어넣기 작업에 나서는 가운데 주력 계열사인 LG전자 지휘 편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말 인사에서 그룹 지주사인 ㈜LG 신성장사업추진단장을 맡아 그룹 신사업을 총괄하게 되는 구 부회장을 이어 LG전자는 3인 각자대표체제라는 방식으로 지금의 글로벌 전자업체 위상을 유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한층 더 많은 시장 점유율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LG전자는 26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책임경영 강화와 기반기술 강화를 골자로 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정도현 LG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장, 조준호 MC사업본부장 사장, 조성진 H&A사업본부장 사장이 3인 각자대표체제를 구성한다. 한편 기존 4개 사업본부 체제는 현재대로 유지된다.
즉 그간 능력이 검증된 골수 LG전자맨인 사장들을 각자 대표이사로 내세우는, 3인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확대한다는 수를 둔 셈이다.
특히 각자 대표이사 3명 중 사업본부장 2명을 선임하면서 책임경영을 강화한다. 기존의 각자 대표이사인 정 사장과 함께 두 조 사장은 이후 주주총회 등 절차를 거쳐 대표이사로 정식 선임될 예정이다. 구 부회장은 LG전자 이사회 의장으로 남아 이들의 활동을 응원하게 된다. 결국 오너 일가와의 소통이 원활하고 이전에 손발을 맞춰본 경험과 오랜 시간 검증된 로열티가 있는 인사들을 세움으로써, 비단 LG전자 임직원 외에도 다른 계열사나 시장에도 안정적 신호를 보내려 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 따르면 각자 대표 체제는 대표이사 각자가 대표이사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경영 방식이라는 데 주안점을 둬 보기도 한다. 로열티가 강한 인사들인 만큼 혼자 하라고 해도 알아서 잘 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기에 이런 기동성 보장 시스템을 택했다는 것이다. 공동대표 체제에 비해 자율권이 보장돼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는 게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