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김상호)과 공동으로 26일 오전 8시30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7회 한국의료패널 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관련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 △의료비 지출 △의료비 부담의 형평성 △삶의 질과 만성질환 △의료이용 △일차의료 등 보건의료와 사회보장 정책 주요 이슈들에 대해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들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먼저 서남규 공단 연구위원의 '한국의료패널 자료 설명'을 시작으로 이태진 서울대 교수 '의료비 부담과 건강보험정책', 이경용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위원 '재난적 의료비 지출 가구 변화 및 노인 의료비 변화 특성' 발표가 이어진다.
오후에는 6개 세션으로 구성된 총 24개 주제별 발표와 열띤 토론이 펼쳐질 예정이다. 주제 발표 세션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건강보험정책·보건의료 전반 관련 주제에 대해 4개 발표와 2명의 토론으로 구성됐다.
대학원 세션의 경우 지난 6월부터 진행한 대학원생 대상 학술논문 공모를 통해 접수된 논문 중 우수 논문을 발표하고 △최우수상(1편) △우수상(2편) △장려상(2편) 학술상과 총상금 500만원을 부여한다.
한편, 이태진 교수의 '의료비 부담과 건강보험정책'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구 생활비 중 의료비지출(본인부담금) 비율이 지난 2008년 6.16%에서 2013년 7.5%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의료비로 인한 가구 경제수준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과부담 의료비 지표'로 살펴본 결과 소득이 낮고 만성질환이 많은 가구일수록 의료비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었다.
이재호 교수의 상용치료원 연구결과에서는 2013년 기준 국내 18세 이상 성인의 주치의 보유율은 14.5%로 나타났다. 주치의와 환자의 관계 지속기간은 평균 7년이었으며 주치의가 있는 당뇨병 환자는 응급실 방문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다.
이처럼 한국의료패널은 지난 2008년부터 매해 7000여가구 이상을 추적 조사해 실제 국민의 의료이용과 가계의료비 지출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 자료다.
공단과 보건사회연구원은 향후 우리나라 국민의 의료이용과 가계의료비 지출, 건강행태·건강상태 등과 관련한 지표를 생산할뿐만 아니라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 측정 등 주요 정책 자료서 활용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성상철 공단 이사장은 "한국의료패널이 건강보험정책과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뿐만 아니라 관련 학술 연구 증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며 "학술대회를 통해 8년차를 맞이, 한국의료패널이 보건의료정책 전반의 정책수립을 위한 자료원으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