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광주·전남지역 가계소득 전국평균 하회…일할 수 있는 기업 유치 절실

2013년 기준 3580만원…전국평균 4600만원보다 1020만원 낮아

정운석 기자 기자  2015.11.24 14:48:51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2008년 이후 광주·전남지역 가계소득이 전국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민이 일할수 있는 외부기업 유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24일 내놓은  '광주·전남지역 가계소득 현황과 정책과제'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 가계소득 수준 및 증가율이 전국평균을 하회하고 가계소득중 근로소득의 비중이 전국평균을 하회했다.

2008~2013년중 광주·전남지역 가계소득의 연평균 증가율은 4.6%로 전국평균(5.1%) 및 여타 권역(4.9~6.8%)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 기간동안 가계소득의 원천별 평균 증가율을 보면 근로소득 5.4%, 영업이익 2.2%, 재산소득 3.6%로 모두 전국평균(근로소득 5.5%, 영업이익 3.2%, 재산소득 5.3%)에 비해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2013년중 광주·전남지역의 가계소득은 가구당 3580만원으로 전국평균(4600만원)에 비해 1020만원이 적었다. 가구당 가계소득을 지역별로 보면 광주가 4030만원, 전남이 3240만원 수준이었다.

광주·전남지역의 가계소득의 특징은 △가계로 분배되는 소득의 비중 낮음 △소득불평등 정도는 개선되고 있으나 타 권역에 비해 높은 수준 △소득대비 채무상환 능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 지역총소득(GRI) 가운데 가계로 분배되는 소득 비중이 전국평균 및 다른 권역에 비해 낮았다. 2013년중 지역총소득(GRI)에서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72.8%로 인천·경기지역을 제외한 다른 경제권역에 비해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기업소득 비중도 다른 경제권에 비해 낮았다.

광주·전남지역의 가계 및 기업 소득비중이 낮은 것은 고용 등 가계소득 창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업규모가 영세한 데 일부 기인했다.

2013년 광주·전남지역의 법인기업중 자산규모 5억원 이하의 소규모 기업의 비중이 51.8%로 다른 권역에 비해 높은 데다 과세표준액이 연간 1억원 이하인 업체의 비중이 83.5%로 가장 높다는 점 등이 가계 및 기업 소득 비중 증가를 제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역경제 회복이 지연되면서 유급 고용원이 없는 영세 자영업자가 크게 감소한 것도 가계소득 증대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광주·전남지역 가계의 근로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가 다른 권역에 비해 높은 것은 취업자 가운데 급여수준 등이 낮은 비정규직 비중이 높고 60세 이상의 노령 취업자의 비중이 높은 데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광주·전남지역의 2015년 8월 현재 가계소득대비 가계대출 비율은 69.5%로 전국평균(83.5%) 및 다른 권역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광주·전남지역의 낮은 가계소득 증가율은 지역민의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지역경기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근로소득이 가계소득의 72.6%를 차지하는 만큼 가계소득 증대를 위해서는 지역민이 일할 수 있는 외부기업의 유치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광주·전남이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삼둥이 밸리'(자동차 밸리, 에너지 밸리, 문화콘텐츠 밸리) 조성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사·민·정이 협조해 외부의 유망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노령층 등 취약계층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높은 임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6차 산업을 활성화함으로써 지역의 소득 불평등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