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18일 광주 광산구가 송파 세 모녀 사건과 유사한 지역의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이하 지사협)를 동 단위까지 넓히기 위해 마련한 공청회에 광산구의회 의장, 해당 상임위원장, 위원 대부분이 참석하지 않아 원성을 사고 있다.
이를 두고 "귀 닫은 광산구의회, 없는 자(위기계층)을 외면하는 의원들"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를 뒷받침할 조례(광산구 사회보장협의체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를 광산구의회가 아무런 이유도 없이 3개월 동안 상정조차 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복지 전문가와 주민들의 목소리까지 아예 듣지 않겠다고 한 것이기 때문이다.
광산구에 따르면 광산구는 이날 오후 3시 광산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공청회(광산형 복지모델 수립) 참석을 요청하는 공문을 10일 광산구의회에 보냈다. 또 행사를 주관한 광산구지사협도 13일 초청장을 보냈다.
하지만 현재까지 방관적 태도를 일관하고 있는 이영순 의장, 아무런 이유없이 해당 조례를 책상서랍 속에 묶어 둔 조상현 산업도시위원장, 이와 책임을 같이해야 할 해당 상임위원 대다수가 참석하지 않았다. 사실상 듣지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공청회는 광산구의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지역사회보장체계 개편 계획과 장기적 복지정책 변화를 전망하고 공동의 가치를 공유하는 자리였고 자신들의 권위, 이익 침해와 관계없는 '없는 자'를 돕기 위한 자리였기에 광산구의회가 귀를 열어야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이유로 고의적 불참은 '주민을 위한 봉사자로서 주민의 복리 증진을 위해 공익우선의 정신으로 성실하게 직무를 수행'하는 구의원의 본분을 저버렸다는 비판도 이어진다. 조례안이 문제가 있다면 공청회에서 치열하게 토론하고 개선안을 마련토록 했어야 한다는 점에서다.
공청회에 참석한 주민 김시연씨(우산동)는 "공청회에 참석해 광산구민으로서 자부심을 갖게 됐다. 대한민국 복지1번지가 광산이라고 보건복지부 서기관이 인정했다"면서 "광산구의회는 조속히 조례를 통과시키고 구청·주민들과 어려운 이웃들을 돕고 살피는 일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공청회에는 임이엽 광산구의회 부의장, 김광란·조승유·정병채, 김동권 의원이 참석했고 관련 조례를 심의하는 산업도시위원 7명 중 김동호 의원만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