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야성을 잃은 야당 새정치민주연합의 대체재가 될 수 있을까? '천정배 신당'이 18일 서울 대방동 여성플라자 아트홀에서 돛을 펼칠 예정인 가운데, 전윤철 전 감사원장 등 일부 참여 인사들의 윤곽이 먼저 드러나면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가칭 '개혁적 국민정당'(이하 국민당) 추진위원회에 전 전 원장과 윤덕홍 전 교육부총리 등 각계 인사가 합류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중량감있는 인사의 참여가 여의치 않을 것이라는 그간의 '찻잔 속 태풍' 예측에 역공이 될 전망이다.
이는 국민당 추진을 위한 천 의원의 암중모색이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아울러 국민의정부 시절 경제부총리를 역임하고 이후 감사원을 이끌었던 전 전 원장과 학자 출신으로 신망이 높은 가운데 개혁적 성향 인사로 평가되는 윤 전 부총리 등의 참여가 동교동계, 넓게는 호남표에 기대 정치를 해온 인사들을 반성하게 기제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또한 친노(親盧·친노무현) 세력에 대해서는 국민당 바람은 더 이상 미풍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의 메시지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새정치민주연합에선 '문재인 책임론'이 가장 큰 쟁점이지만, '호남 지분론' 논쟁은 늘 수면 아래서 대기 중인 고질병 중의 하나다.
이에 국민당은 국민의정부 경제부총리와 함께함으로써 국민의정부 경제철학을 계승하겠다는 주장을 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새정치연합을 포함한 야권에 '대중경제론' 승계의 적통 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참여정부 교육부총리의 참여로 인해 국민당은 교육정책에 대한 지지를 이끌거나 현 상황에 대해서도 정부 차원의 비판을 할 수 있게 됐다.
천 의원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한미 FTA 추진에 단식을 시도하는 등 의지를 굽히지 않아 정치적으로 친노로 구분되지 않는다. 이는 그가 진보적 색채를 띤 거물급 정치인으로 자력갱생하는 데 친노에 대한 평가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그는 분명 인간적 정서와 유대감을 바탕으로 김대중정권, 노무현정권과 함께했다는 것을 창당 추진과정에서 보여줬다. 새정치연합을 떠나기 어려운 현실적 문제에 대한 확답이 될 수는 없어도, 적어도 명분상의 떳떳함을 제공할 수 있는 요소로 꼽힌다.
국민당은 그동안 인물, 조직 등이 베일에 싸여 있었다. 때문에 '누가, 얼마나' 창당추진위원회에 참여할지 관심을 모았다. 때문에 18일 개봉 이후 실망과 비난이 난무할 가능성은 조금은 줄어든 셈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