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올해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피해가 하반기 들어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금감원)은 17일 금융사기 피해액은 지난해 하반기 2023억원에서 올 상반기 1564억원으로 22.7% 감소했다고 밝혔다. 올해 1/4분기 797억원, 2/4분기 767억원, 3/4분기 529억원으로 하반기 들어 꾸준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 상반기 중 대출사기 피해자는 1만263명으로 이는 전체 금융사기 피해자 2만503명의 50.0% 수준이며, 하반기 들어 대출사기 피해자수는 5689명으로 피싱사기 피해자수 2758명을 넘어섰다.
9월 들어 대출사기 피해액은 금융사기 전체 피해액 중 피싱사기 피해액을 넘어 절반수준을 초과했다. 특히 지난 8월까지 다소 감소추세에 있던 대출사기 피해자수와 피해액은 9월 들어 다시 증가하는 등 금융사기 유형이 급전이 필요한 서민을 대상으로 한, 대출사기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금융권이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척결 특별대책'을 착실히 이행함에 따라 신속지급정지제도 도입, 지연인출시간 확대 등을 통해 피싱사이트, 파밍과 같은 기술적 범죄가 곤란해졌을뿐더러 국민들의 대응력도 향상됐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반면 대출사기는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을 대상으로 한 만큼, 피해발생을 인지하는 시점이 늦는 점과 신속한 지급정지가 곤란하다는 취약점 탓에 꾸준히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사기 유형별로 보이스피싱, 피싱사이트와 같은 피싱사기는 대폭 감소했지만, 대출 빙자 서민 생계자금을 가로채는 대출사기는 피싱사기에 비해 줄어드는 속도가 더딘 상황"이라며 "피해현황을 분석해 취약계층에 대해 알리는 한편, 각종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선제적 대응을 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융회사, 공공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통장(카드)를 요구하거나 금전을 송금하도록 요구하지 않음을 명심하길 바란다"며 대출사기 주요유형도 숙지해 대출을 빙자한 각종 금융사기 시도에 유의하기를 당부했다.
한편, 금감원은 대출사기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를 지속하는 등 금융사기 근절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