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운동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학생들 스스로 거리에 나서 1인 시위를 하는가 하면 역사교과서 국정화 고시 철회를 위한 촛불문화제가 매일 오후 광화문에서 열리고 있다.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는 오는 14일 서울 대학로에서 대규모 집회를 예고하기도 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반 의견이 팽팽한 시점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바르게 역사를 배우지 못하면 혼이 비정상이 될 수밖에 없다"는 발언은 다시 한 번 논란의 불씨를 당겼다.
생각보다 상황이 심각한 가운데 교육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하며 이를 홍보하기 위해 만든 '올바른 역사교과서 홈페이지'에 들어가 봤다.
해당사이트는 국정화 역사교과서를 '올바른 역사교과서'로 규정하고 정책소개와 정책설명자료, 편향사례 분석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의 역사교과서들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오류와 이념적 편향성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이 많아 학생들에게 역사인식에 대한 혼란을 주고 나아가 국론분열과 사회적 갈등을 야기한다는 게 교육부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기본 취지다.
홈페이지를 살펴보다 편향사례 분석에 시선이 고정됐다. △북한 선전문구 △6·25전쟁 발발 책임 △북한 토지개혁 △남북분단 책임 △북한군 민간인 학살 △북한 군사도발 등의 사례는 이념적 차이를 바탕으로 오해를 불러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지금까지 논란이 됐던 북한과 주체사상에 관한 내용뿐 아니라 한국 경제에 대해서도 현행 역사교과서가 편향됐다고 지적한 '경제성장 및 기업발전'에 대한 편향사례 분석은 다시 생각해볼 문제다.
교육부는 현 고1, 2학년이 사용 중인 미래엔 교과서에 대해 '경제성장과 기업 발전에 대해 부정적으로 서술했다'고 지적했다.
주요 기업창업주 등 경제 발전에 기여한 인물 소개와 스토리가 없으며, 고도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부작용과 기업인의 부정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했다는 것.
"경제는 고도성장을 이뤘지만 정경 유착과 경제 독점 현상이 더욱 심해졌다… 이러한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은 1990년대 말 외환 위기로 이어졌다… 대표적인 기업인들은 각종 혜택을 악용해 횡령과 비자금 조성을 일삼고, 세금을 포탈하거나 수출 대금을 해외로 빼돌렸다. 구속되어 실형을 선고 받은 이들 기업인 대부분은 경제발전에 기여했다는 명분으로 특별 사면되었다."
교육부가 지적한 부분이다. 한국 경제와 재벌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기보다 일반적인 표현으로 간략하게 설명했다는 생각이 든 것은 기자뿐일까.
사실 이 정도 수준의 내용은 고등학생이라면 인터넷 검색을 통해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일 터져 나오는 재벌 비리와 총수 구속 뉴스에 비교했을 때 한국 경제에 대한 문제를 '지나치게' 강조했다기보다 오히려 간단히 정리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자라나는 학생들이 지난 역사와 현재 사회의 부조리를 제대로 학습하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잘못된 역사를 반복하지 않고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학생들의 역할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육부의 현 교과서 '경제성장 및 기업발전'에 대한 편향사례 분석을 살펴보니 우려가 앞선다. 박근혜 정부가 우리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싶은 역사교육은 무엇일까. 이념과 정치적 대립 가능성이 있는 북한과 주체사상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학생들이 재벌총수를 위인으로 떠받들기라도 해야 하는지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