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광주시, 자전거 좋은도시 만들기 정책 '헛바퀴'

공유자전거 인프라 구축 시급, 국비 사업비는 2013년 이후 끊겨

김성태 기자 기자  2015.11.10 17:32:32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광주광역시가 추진 중인 '자전거타기 좋은도시 만들기' 정책에 대한 운영상 난맥상이 지적됐다.

김동찬 광주시의회 부의장(북구5)은 제2차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시 자전거 정책이 구체적 정책과제 수립미비와 예산확보 부진으로 실행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광주 전체 공유자전거 배치 및 대여현황을 분석해 보면 보유수량에 따른 가동률이 광주시 전체 68.2%, 구청별 광산구 29.6%, 남구 25.9%, 심지어 동구는 12.3%로 매우 저조하다"고 짚었다.

또, "68개 자전거 대여소 가운데 13곳은 2014 실적이 한건도 없어 약 57대의 자전거가 방치되어 있고, 심지어 보유중인 총 670대 중 대여 가능한 자전거는 379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김 부의장은, "광주시 자전거 정책의 현실적인 문제는 노면불량, 자전거 전용도로 부족, 기존도로와  연계성 부족, 겸용도로 이동시 안전사고 우려 등 지속적인 인프라 구축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요구 된다"고 제언했다.

이어 "광주시에서도 서울시 처럼 조직개편 당시 도시교통본부 직렬에 '보행 자전거과'를 두고 중·장기적인 자전거 정책을 세우고 있듯이, 광주시도 가속화 되는 환경문제, 교통문제, 이에 수반한 고유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고 첨언했다.  

김 부의장은 "향후 택지개발, 신도시 정책 추진시 자전거 도로를 의무적으로 포함 시키는 등 강력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펼쳐 가야 할 것이다"며 "교통정책도 도로중심에서 이용자, 보행자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바꾸어 가서, '시민들이 걷고 싶은 도시, 자전거 타기 편한도시' 를 만들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