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칼럼] 상생협력, 윤리경영의 핵심가치

박종선 세종교육원 원장 기자  2015.10.05 09:03:06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추석이 지났다. 대기업이나 금융기관들이 명절을 맞아 어려움을 겪고 있던 중소기업 지원, 여신활동을 보면 이른바 '한가위만 같은 상생활동'이 상시적이어야 한다는 바람은 과욕일까? 

며칠 전 전국 71개 상공회의소 회장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보면 대부분의 상공인들이  사업활동을 하며 느끼는 고통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하다는 보도다.

또 내수 침체, 수출부진에 따른 경영애로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 이어 고용 유연성을 위시한 노동개혁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많은 윤리경영 전문가들은 이처럼 경기흐름이 좋지 않을 때 불공정, 비리가 증가하고 상생과 동반성장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영업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감량경영, 캐시플로 조정, 구조개선이 활발히 진행되기 때문이다. 

금년 상반기 중 30대 그룹이 협력사에 대한 동반성장 지원규모는 전년동기 대비 5% 늘어난 8797억원으로 나타나 다소나마 안도를 하게 된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의 조사결과다. 

30대 그룹은 하반기에 8873억원을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동반성장을 위한 협력사 지원 총규모는 1조7670억원, 연초 계획치보다 2% 늘어난 수치다.

특히 R&D, 해외 판로개척 부문의 지원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글로벌 경쟁의 양상이 시스템 경쟁으로 변화하면서 협력사의 기술개발, 부품혁신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강해지는 이유에서다. 

지원을 받는 협력사들의 반응은 어떤가? 동반성장위원회가 대기업과 협력관계가 있는 1만6000여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지난 6월 조사한 동반성장 체감도 조사결과는 거래관계, 협력관계, 운영체계 등 세부 평가항목 모두에서 체감도가 향상됐다. 

1차 협력사뿐 아니라 2차, 3차 협력사까지 동반성장 문화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정거래 및 동반성장협약 이행 평가결과 역시 크게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많은 중소기업들이 불합리한 납품단가, 골목상권 침투와 같은 불공정 거래를 하소연한다. 

중소기업중앙회 자료를 살피면 중소제조기업 72%가 원사업자의 이익 추구를 위한 일방적 강요나 관행적인 요구에 의한 원가절감 부담으로 수익성 악화를 겪는다고 한다.

최근 2년간 중소 제조업체가 체감한 제조원가는 6.2% 올랐음에도 납품단가는 오히려 1.4% 내려갔으며, 평균적으로 17.2%는 올라야 한다는 조사결과를 내놓고 있다.

대기업의 입장은 어떨까? 대기업들은 동반성장에 대한 인식과 문화가 확산되고, 하도급 공정거래 등 상생협력 기반이 확충되는 등의 성과가 있다는 생각이다. 반면 동반성장 수준을 평가받는 대기업 다수가 업종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적 평가와 공표 방식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빼놓지 않고 있다. 

협력업체와 상생하지 않고는 경쟁력 있는 글로벌 대기업으로 성장하기 어렵다. 대중소기업 간 시너지개발이 중요해지고, 가치사슬 간 협력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현안으로 부각되기 때문이다. 

경쟁의 모습이 개별기업 간 경쟁에서 시스템, 기업생태계간의 경쟁으로 변모했다. 협력이 글로벌 경쟁력을 결정하는 최대요소다. 상생과 동반성장 노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것이다. 상생하며 함께 성장하기 위한 기업간 협력은 윤리경영의 핵심가치이자 이념이다. 

대중소기업 어느 일방의 희생이나 강요에 의한 협력은 오래 지속될 수 없다. 제로섬(zero sum)이나 마이너스(minus) 게임이 아닌 양측에 이익이 되는 플러스 게임(positive )이 다름 아닌 상생협력, 즉 동반성장이다.

상대적으로 경영자원의 여유가 있는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 협력기업과 함께하는 윤리경영이 더욱 강조되고 지원정책의 보정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중소기업 역시 자신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은 정부나 대기업이 아닌 자기 스스로라는 사실을 되뇌고 가일층 분발할 필요가 있다. 

박종선 세종교육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