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재건축·재개발 탓' 옆집 건너 한 집 "이주할 곳 없다"

서울 정비구역 6만1970가구…전·월세대란 재발가능성 '농후'

박지영 기자 기자  2015.09.23 14:29:33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계획을 마친 서울 소재 재건축·재개발 단지 수가 총 113곳·6만1970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통 사업시행인가 이후 1년 이내 공사가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내년 이사를 앞둔 가구 수는 6만여 곳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수급 불일치다. 같은 기간 입주가능한 아파트는 3만여 가구 수준으로 턱없이 부족하다.

자치구별로 1년 이내 이사를 앞둔 가구 수가 가장 많은 곳은 '강동구'였다. 강동구 이주가능물량은 1만2252가구로, 둔촌주공 1~4단지 5930가구와 고덕주공 3·5·6·7단지 5240가구가 이주를 앞두고 있다.

이어 △은평 7417가구 △서대문 6867가구 △성북 5521가구 △강남 3970가구 △서초 3749가구 △영등포 2997가구 △양천 2842가구 △동대문 2794가구 △송파 2613가구 △마포 2557가구 △동작 2506가구 △노원 1412가구 △성동구 1063가구 순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선임연구원은 "지속적인 정비사업으로 과거보다 강남권 재건축아파트가 줄어들면서 강북권 재개발 이주물량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 보다 심각한 점은 1000가구 이상 매머드급 단지의 이주다. 재건축·재개발은 이주기간이 3~4개월 수준으로 짧은 편인 까닭에 1000여가구 이상이 움직일 경우 인접지역 전·월세시장을 불안하게 할 가능성이 높다.

윤 선임연구원은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이주수요 분산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며 "이주기간 추가연장·이주자를 위한 단기 임대주택 공급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민 주거불안 현상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1년 내 이주를 앞둔 매머드급 재건축·재개발 단지는 △서대문구 북아현동 북아현재정비촉진지구 3695가구 △은평구 응암동 응암제2구역 2234가구 △강남구 개포동 시영 1970가구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1재정비촉진구역 1808가구

△양천 신월동 신정1-1지구 1748가구 △송파 거여동 거여2-1지구 1448가구 △성북 길음동 길음1재정비촉진구역 1350가구 △마포 아현동 아현제2구역 1234가구 △강남 개포동 주공3단지 1160가구 △서초 서초동 무지개 1074가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