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노사정 대화 재개 이후 처음 개최된 노사정위 4인 간사회의가 정부의 공공부문 임금피크제 추진을 둘러싼 갈등으로 시작부터 진통을 겪고 있다.
31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노사정 간사회의는 공공부문 임금피크제 확산에 대한 한국노총의 강력한 항의로 시작 40여분만에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나고 말았다.
당초 간사회의에서는 4월 노사정 대화 당시 논의 초안의 쟁점사항을 정리하고, 내달 7일 열리는 노사정 토론회의 주제와 계획안을 확정하기로 했다.
하지만,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하 한노총)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공공부문 임금피크제 도입을 강요하고 있다며 더 이상의 논의를 진행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특히 정부가 일방적인 공공부문 임금피크제 도입을 강행할 경우 노사정 대화 불참 여부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노사정위 간사회의는 다음 달 1일 오전 다시 열릴 예정이다. 간사회의는 이병균 한노총 사무총장, 고영선 고용노동부 차관, 이동응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 최영기 노사정위 상임위원으로 구성됐다.
한편 지난 28일 기준 316개 공공기관 중 65곳(20.6%)이 임금피크제 도입을 완료했다. 7월 말까지만 해도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공공기관은 11곳에 불과했지만, 한 달 새 54곳이 늘어난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