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파이어아이(지사장 전수홍)는 나이지리아를 기반으로 해킹을 통해 이메일 무역사기를 벌이고 있는 '스캐머(Scammers)'에 관한 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나이지리안 스캐머들은 비영어권 중에서도 특히 아시아 지역의 중소기업을 선호했으며, 이메일을 해킹해 무역 거래대금을 빼돌리는 사기수법을 사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나이지리안 스캐머들의 주요 목표는 피해 대상 업체가 지불 결제 방식을 바꾸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스캐머들은 이메일 해킹을 통해 거래 업체 간 주고받은 메일을 오랫동안 면밀하게 지켜보다가 송금과 관련 된 내용이 있을 때 중간에 끼어들어 거래처가 메일 보낸 것처럼 속이고, 바뀐 계좌 정보를 보내 거래대금을 빼돌렸다. 스캐머에 의한 피해규모는 54개국 2328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됐다.
스캠(scam)은 기업의 이메일 정보를 해킹하고 거래처로 둔갑해 무역 거래대금을 가로채는 범죄 수법이다. 이는 신종범죄가 아니라 지난 1980년대부터 나타났으며, 예전에는 편지를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이메일을 사용하는 등 그 수법을 달리하며 이어지고 있다.
파이어아이 관계자는 "스캐머들이 비영어권 아시아지역의 중소기업을 주요 타깃으로 하는 이유는 이들이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점을 악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스캐머들은 거래처 이메일 주소 중 한글자만 바꿔 비슷한 이메일 주소를 만들기 때문에 영어에 익숙하지 않아 바뀐 이메일 주소를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아시아지역 기업들을 선호했다.
보고서에 소개 된 피해사례 중 한 스캐머는 'int.glass@yahoo.com'라는 메일주소에서 g를 q로 바꿔 메일 계정을 만들었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거래처로 착각하기 쉬워 쉽게 피해를 당할 수 있다. 스캐머들은 유사한 이메일을 쉽게 만들 수 있는 yahoo.com이나 gmail.com과 같은 무료 계정을 사용하는 기업을 선호했다. 대부분 중소기업들은 따로 도메인을 사용하지 않고 무료 이메일 계정을 사용해 스캐머들의 주요 표적이 될 수밖에 없다.
파이어아이는 스캐머들이 직접 해킹 기술을 개발하지 않으며, 오히려 해킹 기술능력이 없어 제 3자에게 해킹 툴을 구입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스캐머들은 약 200에서 3600달러에 해당하는 돈을 악성 툴 개발자에게 지불했으며, 피해 기업의 백신 프로그램을 안전하게 통과하는지 재차 확인하는 주도면밀함까지 보였다.
김현준 파이어아이의 상무는 "알 수 없는 출처의 첨부문서는 열어봐서는 안되며, 해외 거래업체의 이메일 주소를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갈수록 해커들의 기술이 진화해 이메일 계정에 기업의 민감한 정보가 포함됐을 경우 해커들이 유포한 악성코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보안장치를 설치해야 기업 내부 정보 유출을 막고 기업의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