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NH농협은행이 자산건전성 관리체계 개선으로 건전성 지표에 효과를 보고 있다.
농협은행의 올해 6월말 기준 연체비율은 0.71%로 2013년말 1.02%에서 0.31%포인트 개선됐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같은 기간 1.97%에서 1.65%로 0.32%포인트 줄어드는 등 자산건전성 관련 지표가 개선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앞서 김주하 농협은행장은 취임시부터 선도은행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산건전성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새로운 제도신설과 시스템 개선, 전문인력양성 등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우선, 일정금액 이상 여신지원 기업에 대해서는 매월 1회 이상 기업을 방문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현황을 파악하는 '상시방문제도(C/L)'를 실시하고 있다.
또, 기업 모니터링 중 리스크 이슈발생시 즉시 방문해 현지 확인하는 '이슈확인제도(C/R)'를 신설하고, 동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업적평가에 반영하는 등 부실징후에 대한 조기대응 및 선제적 여신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 당행 신용공여액 300억원 이상 기업과 대기업 신용위험 상시평가 B등급 기업을 대상으로 본부 감리역을 전담 배치하는 등 상시 밀착 모니터링을 위한 기업 전담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여신관리단의 관리대상채권도 기존 연체 3개월 이상에서 2개월 이상으로 확대하고 단기연체 채권에 대한 업적평가 배점 확대, 회수실적 메리트 평가 도입 등 단기연체 방지에도 노력하고 있다.
여신담당 정예인력도 2017년까지 현재 2821명(△개인여신 1756명 △중소기업 1010 △기업여신 55명)에서 5000명 규모로 2배 정도 확대하기 위한 자격취득, 보수교육 등도 지속 실시할 방침이다.
김 행장은 "아무리 좋은 성과를 내더라도 건전성관리가 무너지면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며 "리스크관리는 해당부서에 국한된 것이 아닌 전 부서, 전 영업점의 일로 인식될 때 좋은 성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