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미래부, 육·해·공 무인이동체 개발 추진

제1차 '무인이동체 발전 협의회' 개최

최민지 기자 기자  2015.08.09 13:57:31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지난 7일 이석준 미래부 제1차관 주재로 제1차 '무인이동체 발전 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무인이동체 사업 종합조정 방안 및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이 협의회는 미래부 1차관이 위원장을 맡았으며, 산업부 등 9개 부처 국장급 공무원으로 구성됐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부처별로 수행 중인 무인이동체 사업을 점검하고 종합 조정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며, 자문회의에서 제시된 세부 과제의 2015년 추진현황 및 2016년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주요 추진사업은 육·해·공 무인이동체 개발과 주파수 분배, 실증시범 사업 및 제도 정비 등이다.

정부는 육·해·공 무인이동체의 공통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고신뢰성 통신·보안 소프트웨어(SW) 등 무인이동체 간 공동 적용 가능한 기술과 신개념 무인이동체 원천 요소기술 개발을 실시한다.

150kg 초과 무인기 개발을 위해 '고속 수직이착륙 무인기(틸트로터)' 상용화를 진행한다. 또, 시험비행으로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비행종합시험장을 구축하고 틸트로터를 지상에서 제어할 수 있는 주파수를 확보해 기술기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부는 30kg 이하급 무인기 개발을 위해 △소형드론 성능향상을 위한 핵심부품 및 공통 플랫폼 개발·보급 △재난·치안용 무인기 개발 및 공공구매를 통한 수요 확대 추진 △무인비행장치 대상 안전성 검증 및 활용범위 확대를 위한 실증 시범사업 등을 수행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을 위해 부품기업 중심으로 10대 핵심부품과 5대 서비스 국산화를 실시한다. 시험운행을 위한 임시 운행허가 기준도 마련된다. 2020년 상용화 지원을 위한 제도 정비와 시범도로 테스트베드 구축에도 나선다. 차량 간 또는 차량·인프라 간 통신 전용 주파수 확보에도 박차를 가한다.

무인 농기계·해양건설 사업의 경우 제초로봇 실용화를 위한 영농현장 실증시험·시범보급과 2021년 양산을 위한 수중건설로봇 개발 사업에 착수한다.

향후, 미래부와 관계부처는 연말까지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 국가과학기술심의회와 경제장관회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무인이동체 사업을 확대한다는 공동 지침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