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지역 조선기자재 기업들이 조선경기 침체로 불황을 겪는 가운데 금융기관이 오히려 대출금리를 인상하고 만기연장을 거절하는 등 '비오는 날 우산을 빼앗는다'는 업계의 어려움에 맞서 서병수 부산시장이 직접 애로사항 해소에 나섰다.
29일 부산조선기자재 조합회관에서 서병수 시장과 최근 유동성 악화 등 어려움을 겪는 조선기자재 업계 대표 및 금융권 관계자들의 현장 간담회가 열렸다.
서병수 시장은 간담회에서 제기된 업계의 어려움을 적극 해소하기 위해 이번 정부 추경에 신보를 통한 경기취약 중소기업 대출보증금 3천억원의 지원대상에 '건설·도소매'에서 '조선기자재 업종'을 추가해줄 것을 부탁했다.
더불어 해양금융종합센터(산은, 수은 등)의 특별금융 지원은 지난 17일경 직접 국회 등을 방문해 요청했다. 이 결과 지난 24일 정부 추경확정 시 '조선기자재 업종'이 추가돼 업계의 유동성 확보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는 이달 15일 산업통상국장이 주재한 실무 대책회의를 통해 종합적인 '유동성 해소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신보 보증한도 확대 및 보증등급 완화 △지역 전략산업인 기자재산업에 대한 '해양금융종합센터(산은, 수은 등)'의 특별금융 지원요청 적극 추진 △시중은행이 조선기자재업계와 소통을 통해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기자재 조합과 설명회 및 간담회 개최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조선기자재업계에 대한 부산시의 운전자금 지원횟수를 연간 3회에서 4회로 상향조정하고 업체당 자금지원의 한도를 3억원에서 5억원까지 1회 증액하며, 지역전략산업인 조선기자재산업을 우대해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채식 부산시 기간산업과 주무관은 "이번에 확정된 정부 추경에는 중기청에서 신보를 통해 경기침체와 메르스 여파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영애로 및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선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1조원(출연금 800억원×운용배수 12.5)을 추가 공급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기보에 400억원의 추가 출연을 통해 5000억의 보증재원을 확충하는 방안이 포함돼 부산지역 조선기자재업계에서 이에 대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