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정원 해킹 의혹' 완전 해소 vs 셀프 검증

與野, 로그파일 제출·검증 방식 놓고 공방 치열

이금미 기자 기자  2015.07.28 18:04:31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여야는 28일 국가정보원 해킹 의혹 진상 규명을 위한 로그파일 등 관련 자료의 제출 및 검증 방식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전날 국정원의 현안보고를 놓고도 여당은 "의혹이 완전 해소됐다"는 의견인 반면 야당은 "국정원의 셀프 검증, 셀프 면죄부"라며 엇갈린 주장을 폈다.

새누리당은 야당의 로그파일 공개 요구에 대해 "터무니없다"고 비판하면서도 국정원 내 열람만 가능하다며 현장방문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전날 국정원의 국회 정보위원회 현안보고와 관련 "쉽고 자세하고 충분한 설명이 있었음에도 야당은 여전히 의혹을 제기하면서 국가정보기관의 모든 사이버전력을 만천하에 드러내는 자료만 요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보위 여당 간사인 이철우 의원도 "국정원장이 로그파일을 갖다 내는 순간 세계 정보기관에서 웃음거리가 되고 다른 정보기관과 절연할 정도로 위험하다"며 "로그파일을 공개하면 목숨을 잃는 사람이 생기고 이름만 대도 다 아는 사람이 들어 있다"고 국정원 대변에 나섰다.

그러면서 "전문가를 선정해오면 국정원 담당 직원과 간담회를 갖고, 정보위원들이 현장검증을 오면 실무자가 충분히 설명할 것"이라며 현장방문 일정 합의를 요구했다.

다만 "민간인 전문가 간담회를 한 뒤 (정보위원의 국정원) 현장검증을 해야 한다"면서 "민간인은 국정원에 들어갈 수 없다"고 야당의 요구에 거듭 거부 의사를 드러냈다.

이에 새정치민주연합은 △로그파일 자료 제출 △로그파일 분석을 위한 5명 이상 전문가 조사 참여와 국회 내 조사공간 설치 △파일 분석에 필요한 최소 1개월의 시간 확보 등 전날 안철수 국민정보지키기위원장이 제시한 세 가지 요구사항을 재확인했다. 특히 전문가의 국정원 현장검증 참여를 못 박았다.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 소속 문병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에서 "전문가 간담회에서 의혹이 안 풀리고 로그파일 원본을 봐야 한다면 역시 전문가들이 (국정원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며 "전문가들이 한글로 번역된 정보를 보는 게 아니다. 컴퓨터에 관한 전문적 부분만 본다"고 언급했다.

김성수 대변인은 "국정원장은 '직'을 걸겠다고 하는데 우리는 국정원장이 이병호든 누구든 별 관심이 없다"면서 "자료를 내놓으라고 했지 국정원장 자리를 내놓으라고 했는가"라고 따져 물었다.

또 "자료를 보고 싶으면 국정원으로 오고 그것도 비전문가들인 정보위원들에게만 보여주겠다고 하니 어이가 없다"면서 "전문가들도 분석하는 데 최소한 달 이상 걸린다는 로그 기록을 비전문가들에게 그저 한 번 보여주는 걸로 손을 털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국정원에 해킹 소프트웨어를 공급한 이탈리아 업체인 '해킹팀'을 폭로했던 캐나다 토론토대학 비영리 연구팀 '시티즌랩'과 화상회의를 추진 중이다. 화상회의는 오는 30일 '국정원 해킹사태 해결을 위한 토론 및 백신프로그램 발표회'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시티즌랩은 지난해 2월 이탈리아 업체 해킹팀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21개국에 스파이웨어를 판매한 흔적을 확인했다고 최초로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