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 2월 2일 여당 원내사령탑에 오른 유승민 원내대표의 8일 전격 퇴진은 향후 여권내 권력지형의 변화를 예고한다.
새누리당은 비주류인 비박(非朴·비박근혜)계가 장악했던 지도체제에 균열이 생기면서 친박(親朴·친박근혜)계가 비박계와 세력 균형을 이룰 기회를 얻게 됐다.
지난해 5월 국회의장 선거, 7·14 전당대회, 지난 2월 원내대표 경선까지 연패를 기록했던 친박계가 임기 반환점을 앞둔 박근혜 대통령의 지원 사격에 힘입어 역전의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이에 친박계가 유 원내대표 중도 하차를 계기로 당 장악은 물론 국정운영에서도 주도권을 회복할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그러나 '유승민 논란'이 장기적으로는 내년 총선 공천을 둘러싼 계파 간 권력 다툼의 성격이 짙다는 점에서 유 원내대표의 퇴진으로 더욱 치열한 내홍 국면을 맞게 될 것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특히 친박 주류 처지에선 'K-Y(김무성-유승민)라인'을 붕괴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수적 열세를 딛고 차기 원내 지도부를 친박계가 장악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여전히 수적으로 우위에 선 비박계가 이번 유 원내대표 사퇴를 계기로 결집한다면 차기 원내 지도부 선출로 재기할 것이라는 가능성도 높게 점쳐진다.
박 대통령의 향후 행보에도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거부권 정국과 맞물려 13일 동안 달아오른 '유승민 거취 쟁점'은 대통령의 말 한마디가 여당을 뒤흔들 수 있다는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박 대통령의 뜻대로 당청 관계가 재정립된다면 임기 반환점을 앞둔 박 대통령으로선 당에 대한 장악력을 회복하는 동시에 국정운영의 동력을 새로 얻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를 비롯해 비박계 지도부 출범 이후 당청 관계 역시 매끄럽지 못했던 터라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야 한다는 박 대통령의 뜻이 관철됨에 따라 일단 '친정 체제'의 형태로 안정을 찾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제왕적 리더십'이라는 비판 여론은 향후 국정운영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유승민 거취 문제를 두고 여당 내 세력이 맞서는 과정에서 친박계가 열세인 사실이 재확인됐다는 점은 당청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후임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 지도부를 비박계가 다시 장악할 것이라는 관측이 높은 가운데 당장 내년 총선 공천을 두고 충돌할 경우 여권은 박 대통령의 말 한마디로는 통제할 수 없는 '혼돈의 정치'로 빨려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