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내년부터 시행되는 정년 60세를 앞두고 근로자 10명 중 7명꼴로 임금피크제 도입에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가 종업원 100인 이상 기업 소속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7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2.8%는 '임금피크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임금피크제 도입에 찬성한 이유로는 '실질적 고용안정이 가능하다'(56.3%)는 응답(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신규채용 확대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도 37.6%에 달했다.
도입이 불필요한 이유로는 '기업 경쟁력은 인건비 절감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 높여야 한다'(44.5%)는 답변을 가장 많이 했다. '임금 감소'도 38.6% 정도였다.
임금피크제가 도입될 경우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임금 조정수준은 평균 16.5%였다. 조정구간별로는 '10∼20% 미만'을 꼽은 응답이 39%로 최다였다.
정년 60세를 기준으로 몇 세부터 임금을 조정하는 것이 적정한가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3%가 '55세'를 들었다.
임금피크제 도입이 장년 근로자 고용안정과 청년 등 신규채용 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과반수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63.7%(복수응답)가 '정부지원 확대'를 선택했다. 45.3%는 '기업의 고용안정 노력', 40.5%는 '노조와 근로자의 협력'이라고 답변했다.
필요한 정부지원 제도로는 '재정지원 확대'라는 응답이 55.7%로 1위였으며 '임금피크제 적합모델 개발 및 제공'(23.1%) '도입사례 등 정보 제공'(12.5%) 등이 뒤따랐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정년 연장을 돕고자 고용노동부가 고용노사관계학회, 인사관리학회, 인사조직학회와 함께 올해 발족한 단체인 '60세+ 정년 서포터즈' 활동의 하나로 이뤄졌다.
60세+ 정년 서포터즈가 주요 업종의 임금피크제 도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 근로자가 임금피크제에 들어간 후 정년까지의 기간(임금 조정기간)은 금융업종이 평균 4.3년으로 가장 길었다. 차순위는 △유통(4.2년) △제약(3.4년) △조선(2.7년) △자동차부품(2.4년) 등이었다.
임금피크제에 들어가기 전 최고 임금에 비해 임금이 깎이는 비율을 나타내는 임금 감액률은 금융업종이 연평균 39.6%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제약(21.0%) △유통(19.5%) △자동차부품(17.9%) △조선(16.3%)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