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여의도25시] 홈플러스 이미 매각 수순… 모르쇠 전략은 곧 소비자 기만

전지현 기자 기자  2015.07.02 14:23:38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자금력 문제로 오리온이 적격인수후보기업에서 밀리며 홈플러스 인수후보 대상은 현금성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와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칼라일그룹, 어피니티에퀴티파트너스까지 4곳으로 압축됐습니다.

국내 대형마트 '빅 3'에 이름을 올린 홈플러스의 매각소식은 오래전부터 나돌았지만 모회사격인 영국 테스코그룹이 홈플러스에 큰 기대를 걸었던 만큼 매번 루머로 일축되곤 했었죠.

이런 가운데 최근 홈플러스 매각 소식이 가시화됐고 예상 매각가가 7조~8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추산까지 나오며 '메머드급 매물'로 떠올랐습니다.

모든 언론에서 보도하고 있음에도 매각 진행과 관련한 사실을 부인하며 매각과정 공개를 꺼리는 사측 움직임에 맞서 노조까지 매각 투명화 촉구에 나섰죠. 이미 일정 절차를 밟고 있었던 홈플러스의 '비밀 매각 진행'은 보는 이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합니다.

지난달 25일 공시된 홈플러스의 연결감사보고서를 보면 전년대비 매출액 변화가 크지 않았지만 연결당기순이익은 이익에서 손실로 돌아섰습니다. 작년 3월1일부터 올 2월28일까지 연결기준 매출액은 8조5682억원으로 전년 8조9298억원 대비 4%가량 소폭 줄었죠.

하지만 이 기간 법인세전이익과 연결당기순이익은 -3021억원(2013년 6503억원)과 -3002억원(2013년 1661억원)으로 마이너스 성장하며 대규모 손실을 냈습니다. 세부사항을 살피면 이는 영업외비용에서 발생한 △투자자산처분손실 △유형자산손상차손 △무형자산손상차손 △잡손실 등에 기인한 것이었는데요.

우선 2014년 3억원에 비해 무려 200배 높은 635억원의 잡손실 항목을 뜯어보겠습니다. 홈플러스는 마일리지제도에 따른 추가 부담액과 반품이 예상되는 판매분, 근로자와 통상임금과 관련된 임금 추가지급청구소송(소송가액 12억3500만원)을 충당부채로 인식, 잡손실에 반영했습니다.

무형자산손상차손은 2013년까지 반영되지 않았던 무형자산 관련 감가상각분이 차손으로 인식되면서 비용이 2610억2885만원이나 발생했죠.

감사보고서에서 홈플러스 측은 "회수가능가액이 영업권 장부금액에 미달한 2606억2800만원을 무형자산손상차손으로 영업외비용에 반영했다"며 "이러한 손상차손 인식은 홈플러스 손익악화에 기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2013년 45억원이었던 유형자산손상차손은 점포별 회수가능 미달 금액으로 적용, 해당점포의 손익악화에 대한 현재가치를 재평가함으로써 1749억원이 생겨 4배 정도 급증했습니다. 점포를 별개 현금창출단위로 판단, 손상에 대해 평가한 결과 회수가능금액을 유형자산손상차손에 반영했기 때문이었죠.

결과적으로 홈플러스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액은 3001억8471만2877원으로 4842억원에 이르며 이익을 봤던 2013년에 비해 7844억원가량 대폭 줄었습니다.

언뜻 보면 이런 대규모 손실은 홈플러스의 재무건전성을 저하시키는 우려 요소로 여겨지기 쉽지만 사실 이는 홈플러스가 매각 수순을 이미 밟고 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합니다.

이와 관련해 한 국내기업 IR관계자는 "기업을 합병 및 매각하기에 앞서 세무상 유보했던 자산, 부채 등을 재평가, 영업권을 산출해 제대로 된 기업 현재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절차"라며 "대부분의 매각기업이 준비하는 보편적인 모습"이라고 설명하더군요.

1일 홈플러스 노조는 서울 역삼동 홈플러스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매각과정에 대해 영국 테스코와 한국 경영진에게 여러 번 사실 확인을 요청을 했으나 번번이 무시당한데 대한 강한 비판을 하며 매각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홈플러스 경영진들이 그동안 신뢰를 갖고 따라온 노조와 소비자에게 보여 온 '모르쇠' 일관 전략은 이제 그만두길 바라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