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얼마 전 새신랑·신부의 행복한 앞날을 빌어주고자 결혼식에 다녀왔는데요. 친척 결혼식이라 폐백까지 보기 위해 잠시 기다리는 중이었습니다.
식사를 마친 이들이 하나둘 자리를 비우자 직원들이 이를 정리하면서 한 테이블을 빈 와인잔과 물잔으로 채우더군요. 비록 사용한 잔재가 남은 잔들이지만, 한데 모이니 나름 그럴듯한 모습에 잔들이 더 값어치 있게 보였는데요.
자연스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빈용기 보증금제'가 떠올랐습니다. 정부는 빈병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내년부로 맥주나 소주를 살 때 붙는 빈용기 보증금을 크게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죠.
일부 병 안에 담긴 술이나 음료를 살 때 우리 모두 보증금을 내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지금도 슈퍼나 마트에 빈병을 가져다주면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법률상 제조자 등이 술과 음료수를 판매할 때 190㎜ 미만의 작은 음료수병은 20원, 2홉들이 소주병과 콜라·사이다병은 40원, 중대형 맥주병은 50원, 대형 주스병은 100~300원까지 보증금을 붙여서 판매한 뒤 소비자가 빈병을 반환하면 이를 돌려주게 돼 있는데요.
이는 빈병의 회수와 재활용 촉진을 위해 지난 1985년부터 시행해왔습니다만 30여년간 단 한 번도 인상된 적이 없었습니다. 예전에는 빈병 서너개면 과자나 아이스크림 등을 사 먹을 수 있었다지만, 지금은 물가가 많이 오른 탓에 과자 한 봉지 사기도 어려운 실정이죠.
소매상들도 빈병 취급 수수료가 약 8원에서 23원 정도이다 보니 깨지지 않게 보관하기도 힘든 빈병을 꺼리고 소비자들도 빈병을 재활용쓰레기로 내놓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빈병이 다른 재활용 유리병들과 섞인 다음 재분류 과정을 거쳐 돌아오면 깨끗한 상태인 빈병도 극히 적어지는데요. 한국용기순환협회에 따르면 국내 주류 업체들의 빈병 재사용 횟수는 평균 8차례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평균 50회를 재활용하는 독일이나 △필란드(30회) △일본(28회) △캐나다(20회) 등에 비해 재활용률이 크게 떨어지죠.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 가정의 빈병 회수율은 24%로 떨어졌고 지난 2013년 기준, 소비자들이 맥주나 소주를 사가면서 다시 돌려받지 못한 보증금이 56억원을 넘었다고 합니다.
이에 정부와 관련 업체들은 올해 안에 빈용기 보증금을 확정, 내년 1월부터 새로운 빈용기 보증금 제도를 시행할 예정인데요. 새로 병을 만드는 비용인 150원 수준에 근접하게 보증금 규모를 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빈병을 수거하는 도소매상의 취급수수료도 높이고 각 슈퍼나 마트에 빈병 자동회수 기기를 설치하는 등 빈병 회수를 보다 쉽게 하는 방안도 추진한다네요.
유리병 한 개를 재사용할 경우 100W 전구를 4시간 밝힐 수 있는 양이라고 합니다. 얼마나 많은 자원이 낭비되고 있는지 짐작이 되나요? 빈병 반납은 보증금을 돌려받는다는 단순한 개념을 넘어 자원 절약 측면으로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먼저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돼지저금통의 배를 불려주며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어떨까요. 작은 실천이 저탄소·자원절약의 시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