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백세대란 천수해법] 은퇴 후 줄어드는 가계수입 '스무딩'이 답

정수지 기자 기자  2015.06.15 14:46:53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미래에셋은퇴연구소(이하 연구소)가 은퇴자 가계수입을 분석한 결과 '60대 전후'에서 한 차례, '70대 전후'에서 또 한 차례 이중추락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주가 60대인 경우 평균 가계수입(282만원)은 50대 가구(441만원)에 비해 36%나 내려갔는데요, 70대 이상 가구의 평균수입은 60대 가구에 비해 또다시 절반(45%) 가까이 줄었습니다. 중위(中位) 가계수입도 50대 384만원에서 60대 215만원, 70대 95만원 순으로 평균 가계수입보다 가파르게 급락했습니다.

저소득층일수록 고소득층에 비해 가계수입 하락폭은 더 컸습니다. 60대 가구 중 상위 20%의 경우 50대 같은 계층에 비해 가계수입이 27% 줄어든 것에 그쳤으나 하위 20%에서는 그 두 배인 53%나 떨어졌죠.

여기에 70대 전후의 가계수입 2차 추락이 더해져 70대 이상 상위 20% 가구의 경우 50대 가구에 비해 가계수입이 51% 줄고, 하위 20%는 74%나 급락했습니다.

특히 가계수입 측면에서 은퇴자 가구는 50대 가구에 비해 양극화가 2배 심화됐습니다. 은퇴자 가구의 5분위 계수는 14.6배로 50대(7.3배)보다 2배 높은 것인데요, 5분위 계수는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에 맞춰 나눈 수치로 소득불균형을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입니다.

또, 50대 가구 대비 은퇴자 가구의 가계수입 수준은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떨어졌습니다. 은퇴자 가구 상위 20%의 월평균 수입(585만원)은 50대 가구 상위 20% 수입(896만원)의 65% 수준이었으나 은퇴자 가구 하위 20%의 수입은 40만원에 불과해 50대 가구 같은 계층(122만원)의 33% 그쳤습니다.

이에 따라 은퇴자 가구 3곳 중 1곳은 최저생계비(94만원·2인 기준)에도 못 미치는 수입을 거두고 있으며 59%는 부부의 생활에 필요한 적정 소득 수준을 밑돕니다.

이는 우리나라 은퇴자 가구의 가계수입은 근로·사업소득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인데요, 근로·사업소득은 은퇴자 가구 월수입(226만원)의 절반 이상(53%)에 이릅니다.

은퇴자의 가계수입은 60대에는 일자리의 질 하락, 70대에는 일자리 자체의 감소 탓입니다. 60대의 경우 50대에 비해 가구주 취업률도 떨어지지만 '상용직 급락, 임시직 증가'로 대변되는 일자리의 질 악학과 가계수입 1차 추락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70대의 경우 취업률 자체가 29%로 뚝 떨어진 것이 은퇴자 가계수입 2차 추락의 결정적 요인입니다. 60대의 취업률은 61% 정도입니다.

아울러 60대 이후 근로·사업소득이 줄어드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지만 이를 대체할 소득원(연금소득·재산소득·자산의 현금화 등)이 불충분해 이중추락과 양극화의 진행을 막지 못하고 있는 탓인데요.

이 같은 은퇴자 가계수입의 이중추락과 양극화라는 이중고를 극복하려면 '가계수입 스무딩(smoothing) 3대 전략'이 필요하다고 연구소는 말합니다.

가계수입의 연착륙을 위해서는 일하기 희망하는 60대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는 것인데요. 일자리 제공은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연장해 완전은퇴 이후 공적연금을 더 받을 수 있도록 해줄 뿐 아니라 1차 추락하는 가계수입을 끌어올려 은퇴자산을 보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을 안정적인 소득흐름으로 전활할 수 있는 자산 유동화 방안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은퇴자의 자산이 부동산에 집중돼있으나  '재산소득'과 '자산 현금화'의 비중이 낮다는 것은 부동산을 활용해 소득흐름을 창출하는 자산 유동화가 활성화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로는 은퇴자들은 남은 생애에 걸쳐 금융자산을 정기적인 수입으로 전환해 쓰는 '연금화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해야 합니다. 연금화 전략은 보유 자산을 정기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입으로 전환하는 방법입니다.

연금화 방법에는 연금상품을 가입하거나 월지급식 펀드 등을 통해 보유 금융자산을 월수입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