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자수첩] 현대차 노조 '자승자박' 리스크 감안할 때

노병우 기자 기자  2015.05.28 16:14:37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최근 현대차 노조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이하 임단협) 요구안에 맞선 사측 제동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현대차가 경영·인사권 등을 침해할 소지가 있는 노조의 임단협 요구안 일부를 재검토해달라고 공문을 보냈기 때문이다.

현대차가 짚은 노조의 임단협 요구안은 국내 및 해외공장 총 생산량을 노사 간 합의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는 부분과, 징계위원회를 노사동수로 구성하자는 부분이다.

그 중에서도 해외공장 생산량을 노사합의로 결정해야 한다는 부분은 노조가 해외공장과 달리 국내공장의 생산량이 점점 줄면서 노조의 입지가 좁아지는 것을 막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한 것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급변하는 글로벌시장 상황에 맞춰 경영진이 국내외 생산량을 유연하게 결정해야 하는 판국에 노조가 자신들의 고용 안정만을 외친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해외공장 생상이 증가하게 된 원인이 노조 때문이라는 지적도 함께 잇따르는 상황.

사실 그동안 국내 자동차업계는 글로벌 경쟁력과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고비용 저효율' 구조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런 상황에서 영역 밖의 문제에 대해 자신들이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노조의 요구안이 '보신주의'로까지 비치는 모양새다.

현대차는 노조의 요구안에 대해 "해외생산량을 노사합의로 정하자는 것은 명백한 경영권 침해"라며 "생산량을 정하는 것은 경영진의 경영권 중 일부인 만큼 생산량 결정을 합의하자는 노조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반면, 노조는 임단협이 시작되기도 전에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특정 항목을 제외하라는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대립각을 세운다. 

그러나 노조는 자신들의 이러한 행보가 자칫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전례를 살펴보면 노사 간 교섭이 결렬될 경우 대부분의 노조들은 파업을 강행했다. 

이럴 경우 회사입장에서는 당연히 자구책을 찾을 수밖에 없고, 그 방안은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것이다. 즉, 국내 생산량은 줄이고 해외 생산량을 늘릴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이어져 스스로 무덤을 파는 양상이 될지도 모른다. 

따라서 노조는 자신들의 욕심이 일거리를 해외로 밀어내는 것이 아닌지를 되돌아보고, 국내공장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노력을 기울일 때다. 당장 눈앞의 몫만을 챙기기 위해 이기적인 행동은 펼친다면 국민들로부터 외면을 받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