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기자수첩] 스마트팜 천리길, 데이터관리 한 걸음부터

임혜현 기자 기자  2015.04.06 10:16:55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정보통신기술(ICT)을 일상생활에 접목하는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 중에서 농촌의 삶의 질을 한층 풍요롭게 업그레이드시킬 일명 '스마트팜'이 최근 눈길을 끌고 있다.

곳곳에서 시범농가들이 늘어나고 정부의 관심과 지원 열기도 뜨겁다. 3300㎡(1000평) 규모 온실에 스마트팜을 도입하려면 2000만원 정도가 소요돼 부담이 적지 않은 편이나, 현재 농가가 20%만 순수 자부담하면 정부 융자 30%, 국비와 지방비 보조 50% 등을 더해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실제 현재 시범 진행하고 있는 일부 케이스들의 경우 경영 성과도 적잖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고무적이다. 전라남도의 한 농장이 생산성면에서 40% 향상됐다는 보고 사례가 있다. 

하지만 아직 본격적으로 확산되기에는 '걸림돌' 하나를 확실히 치우고 가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고 싶다. 바로 데이터의 처리와 정리 문제를 어떻게 확실히 퀀텀점프시킬 것인지의 문제다. 

이 문제는 '빛은 안 나는' 문제일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 볼 때 스마트팜의 활용성을 증진시키고 전국 단위 확산시키는 데에 전제 조건이 될 만큼 중요성이 높다고 본다.

데이터를 표준화해서 쉽고 편리하게 예측가능한 농업 경영을 가능하게 하지 못한다면 초기 단계에서 뭔가 될 듯한 싹이 보이다가도 본격적인 농업 효율성 제고는 요원할 수밖에 없다. 비싼 돈을 들여서 세운 각 스마트팜이 자기 '감'대로 농사짓는 수준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농업진흥청의 '한국형 스마트팜 개발 방향과 전략 심포지엄'에서도 이 같은 문제가 언급돼 관심을 환기시킨 점은 그래서 반갑다. 데이터를 모으는 한편으로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의 표준화를 시키자면, 지금과 같이 업체별로 제각각인 상황에 머물러서는 쉽지 않다.

결국 이 문제는 ICT 발전의 중요한 열쇠지만 각 업체나 농민 등 사경제주체들이 시간을 할애해 처리하기엔 쉽지 않은 과제라는 점에서 국가기관이나 공공적 성격을 지닌 중간조직이 맡아줘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ICT 세상이 발전할수록, 기기의 성능이나 보급 상황 등 하드웨어적 요소보다는 데이터를 모으고 관리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무언가를 새롭게 창조하는 등의 소프트파워의 중요성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가 인터넷 강국을 자부했지만, 실제로 체격에 비해 근육이 너무도 부족했던 점이 드러났던 아픈 과거를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디도스 공격 등 각종 외부 공세에 너무도 허망하게 무너진 게 좋은 예다. 우리가 지금 단순히 얼마나 많은 스마트팜이 보급되는가에만 시선을 줄 때가 아니라는 점은 더 명확해진다고 하겠다.